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보험사, 장애인 채용 인색…"고용관행 개선 위해 노력해야"

공유
0

국내 보험사, 장애인 채용 인색…"고용관행 개선 위해 노력해야"

국내 보험사들은 장애인 고용 개선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보험사들은 장애인 고용 개선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해외 주요국 보험업계가 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보험사들도 장애인 고용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해외 주요국 보험업계의 장애인 고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많은 국내 기업들이 회사 내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신설해 ESG 경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지만 사회분야의 활동에서 장애인의 고용은 아직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ESG 경영의 목표에 부합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인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3.08%로 나타났고, 이 중 민간 기업의 장애인 고용은 2.91%로 의무고용률 수준인 3.1%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금융·보험업에 종사하는 장애인 비율은 업무의 특성에서 오는 제약으로 인해 타 산업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미국 노동부의 2019년 조사에 의하면 전체 장애인 수(약 3040만 명)에 대한 장애인 고용의 비율은 약 19.3%(약 586만 명)이며 장애인 취업자 중 금융·보험업에 종사하는 장애인 비율은 5.4%로 조사대상인 14개 업종 중 9위에 해당했다.

지난해 영국 노동연금부의 통계에 따르면 노동연령에 해당하는 전체 장애인(약 810만 명)의 54%에 해당하는 장애인(약 440만 명)이 고용상태에 있으며 이 중 금융·보험업에 종사하는 장애인 비율은 2.7%로 17개 조사대상 업종 중 13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 금융·보험업에 종사하는 장애인은 전체 장애인 취업자의 1.3%를 차지해 조사대상인 19개 업종 중 15위에 위치했다.
현재 미국·영국과 같은 해외 주요국의 보험업계는 위와 같은 장애인 고용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장애인 고용과 근무환경 개선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보험회사들은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직장 내 편견을 제거하기 위해 인식개선 교육과 장애인 고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장애인 고용 확대와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안정적인 근무여건의 조성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보험회사인 트레블러스(Travelers)의 장애인 고용을 위한 노력은 CEO를 포함한 41명의 임원과 고위 경영진으로 구성된 다양성 위원회가 중심이 돼 이뤄지고 있다. 또 전 직원을 대상으로 무의식적 편견에 대한 연수를 해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국의 보험회사들은 장애인 고용촉진과 장애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근무여건 조성을 위한 활동을 수행해왔다.

영국 보험회사인 아비바(AVIVA plc)는 영국 정부의 장애인 고용정책인 DC 계획(Disability Confident Scheme)을 충족한 회사로 인증받고 있으며 근무 중 애로사항이 발생할 경우 장애인 근로자들이 이에 대한 개선을 즉시 요구할 수 있는 직무적응 프로그램과 시각·청각 장애인들의 지원을 위한 모임을 운영하고 있다.

한상용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경영활동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 실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므로 향후 국내 보험사들은 해외 주요국의 장애인 고용사례를 참고해 장애인 고용관행의 개선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보험사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경영활동을 수행할 때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공감을 얻게 되고 이는 기업가치 증대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