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미 금리인상 시기, 인플레이션·실업률에서 갈려

공유
0

한·미 금리인상 시기, 인플레이션·실업률에서 갈려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달리 한국은행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을 두고 양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목표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료=보험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달리 한국은행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을 두고 양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목표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료=보험연구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이 2023년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힌 반면 한국은행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데 대해 양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목표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3일 발표한 ‘연준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 차이’ 보고서를 통해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있어 연준과 한은이 다른 입장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양국의 통화정책 경험을 바탕으로 검토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5.25%→2%), 미국(5.25%→0.125%)에서 기준금리가 크게 인하됐는데 이후 기준금리와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의 관계를 보면 한은이 연준에 비해 인플레이션에 대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9년 11월부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를 상회했는데 8개월 후인 2010년 7월부터 기준금리가 인상됐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12년 7월부터 2.0% 이하로 낮아지자 기준금리가 바로 인하됐다.

이에 반해 미국의 경우 2011년 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15개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상회했으나 기준금리가 인상되지 않았고 기준금리는 2015년 12월부터 인상됐는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1년 뒤인 2016년 12월부터 2%를 상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준금리와 실업률 간의 관계를 보면 인플레이션의 경우와는 달리 연준이 한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업률에 민감하게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과 2019년 실업률이 개선되던 시기에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등 기준금리와 실업률 간에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반면 미국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승한 실업률이 2015년 12월 5%까지 하락하는 기간 동안 제로금리가 유지됐고, 실업률이 5% 이하로 낮아진 이후부터 기준금리가 인상되기 시작했다.

이를 종합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정책을 비교해 보면 한은의 경우 실물경기보다 인플레이션에, 연준의 경우 인플레이션보다는 실물경기에 좀 더 높은 가중치를 두고 기준금리를 결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는 최대의 지속가능한 생산·고용, 물가안정인데 반해 한은의 통화정책 목표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고 분석했다. 또 이는 양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목표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선임연구위원은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라 한은이 연준보다 기준금리를 먼저 인상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은 양국이 직면한 경제 상황과 통화정책 목표를 고려할 때 예상 가능한 모습”이라면서 “현 경제 상황에서 연준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이며 한은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늦추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