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소기업협의체..이번주 출범, 정의선·최태원 등 한자리 모여

공유
1

수소기업협의체..이번주 출범, 정의선·최태원 등 한자리 모여

현대차·SK·포스코·한화·효성 등 2030년까지 43조원 투자
수소기업협의체 8일 출범


(왼쪽부터)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현대차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현대차그룹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앞두고 내년 저탄소화 사업 등에 12조원의 재정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산업계에서도 수소 관련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 찍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번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이 주축이 된 '한국판 수소위원회'가 출범하는 등 수소 관련 이벤트가 잇따르며 수소 사회 구현을 위한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작년 발표한 리포트에서 세계 수소 시장이 2050년까지 12조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기업도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소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양산했으며, 2030년까지 연간 수소전기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기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수소차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 충전소 설치 등에 11조1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의선 회장은 "수소는 탄소 중립 시대의 '에너지 화폐'"라며 포스코, SK 등 국내 주요 그룹과 수소 관련 사업 협력에도 힘을 싣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7일 온라인으로 '하이드로젠 웨이브' 행사를 열고 23년간 축적한 핵심 수소 기술과 미래 수소 사업 전략, 미래 수소모빌리티와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등 그룹의 수소 관련 역량을 총망라해 선보일 계획이다.
SK그룹은 작년 말 수소 사업 전담 조직인 수소사업추진단을 신설했으며,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5년간 18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수소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해 글로벌 1위 수소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SK는 SK인천석유화학의 부생수소를 활용해 2023년부터 약 3만t 규모의 액화 수소를 생산하고, 2025년부터는 친환경 청정수소 25만t을 추가로 생산하는 등 총 28만t 규모의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작년 12월 수소산업 진출을 공식 선언한 포스코그룹 역시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등을 통해 수소 생산 역량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롯데그룹에서는 화학 계열사 롯데케미칼이 2030년 탄소중립 성장을 달성하고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의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랩을 올해 7월 발표하고 수소 사업을 견인한다.

2030년까지 약4조4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해 수소 사업 매출 3조원 목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청정수소 60만톤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2024년 울산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 시작, 2025년 액화 수소 충전소 50개 구축 등을 통해 국내 수소 활용 사업을 확대하고 수소 생태계 형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효성그룹은 수소 생산부터 공급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고, 한화그룹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수소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들 5개 그룹사가 2030년까지 수소 경제에 투자하는 금액은 총 43조원 규모에 달한다.

이어 정 회장과 최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국내 대기업 총수들이 총출동하는 수소기업협의체는 8일 '2021 수소모빌리티+쇼'가 열리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H2비즈니스서밋'을 열고 공식 출범한다.

정부도 수소 인프라 확대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을 개정해 국·공유지 내 수소충전소 구축 시 임대료 감면 한도를 50%에서 80%로 늘리고 개발제한구역 내 수소충전소 이외의 수소생산시설, 출하 설비 등 다양한 수소 인프라 설치도 허용했다. 그린수소 인증제와 액화 수소·액화 충전소 보급 계획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경제로드맵 2.0'도 연내에 발표될 예정이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