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탈석탄·자본잠식' 수렁 빠진 석탄공사 구원투수 '2파전'

공유
0

'탈석탄·자본잠식' 수렁 빠진 석탄공사 구원투수 '2파전'

정선 출신 원경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 태백 출신 김동욱 전 노조위원장 '유력후보'
민주당 총선후보 출마 낙선 공통점..."낙하산 인사 반대" 노조 입장 변수 작용 관심
석탄산업 안정관리, 탄광지역 활성화 난제 해결 '부담'...10월께 인선 윤곽 나올듯

대한석탄공사 신임 사장 후보로 거론되는 원경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왼쪽)과 김동욱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 위원장(오른쪽). 사진=뉴시스·김동욱 블로그
대한석탄공사 신임 사장 후보로 거론되는 원경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왼쪽)과 김동욱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 위원장(오른쪽). 사진=뉴시스·김동욱 블로그
'완전 자본잠식' 내우(內憂)와 '탈석탄' 외환(外患)의 이중고에 직면한 대한석탄공사의 경영과 조직을 안정시킬 신임 사장 인선을 놓고 업계와 지역사회의 관심이 모아진다.

7일 석탄공사와 업계에 따르면, 석탄공사는 지난 2일 3년 공식 임기를 마친 유정배 사장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석탄공사 임원추천위원회는 사장 공모와 면접을 거쳐 최근 5명의 사장 후보자를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운위가 심의·의결을 거쳐 복수의 후보를 제출하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사장을 임명한다.

업계에서는 신임 석탄공사 사장 후보로 원경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김동욱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을 유력하게 꼽고 있다.

원경환 전 청장은 1961년 강원도 정선 출신으로 한국방송통신대 행정학과 학사와 연세대 법학 석사를 거쳐 1989년 37기 경찰간부후보로 경찰에 입문했다.

정선경찰서장, 경찰청 수사국장, 경남·강원·인천·서울지방경찰청장을 지낸 원 전 청장은 지난해 4월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강원 홍천·횡성·영월·평창군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또다른 유력후보인 김동욱 위원장은 1957년 강원도 태백 출신으로 강원관광대 관광품질경영과를 졸업하고 1978년 석탄공사에 입사해 석탄공사 노조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 부위원장, 한국노총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 지역위원장과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등을 지냈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강원도 태백시장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원·김 두 후보가 유력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석탄공사 노동조합은 최근 이례적으로 '낙하산 말고 책임감 있는 사장을 원한다'는 현수막을 석탄공사 원주 본사 앞 등에 내걸고 사장 선임의 입장을 공개 표명해 향후 사장 인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다만, 신임 석탄공사 사장이 누가 되든 탄소중립과 탈석탄시대라는 시대 흐름에서 석탄공사가 중심에 서서 석탄산업의 안정 관리와 탄광지역 경제활성화라는 난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석탄공사는 한국광물자원공사·한국석유공사와 마찬가지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고, 최근 수년간 매년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영 악화로 석탄공사의 임직원 수는 지난 2016년 1399명에서 매년 100여명씩 꾸준히 감축되면서 올해 6월말 현재 755명으로 줄어 절반 수준에 근접해 있다.

국내 석탄 생산량 감소도 석탄공사의 미래를 어둡게 만든다. 석탄 생산량은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사이에만 53%가 줄었다.

이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지역시민단체 출신이었던 유정배 사장은 지난해 12월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2020년 공공기관 청렴도평가'에서 종합 1등급을 달성했고, 지난해 6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0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6년 만에 C등급(보통)으로 올라서는 등 성과를 보였다.

올해로 설립 71주년을 맞은 석탄공사는 지난 70년간 1억 9200만t의 석탄을 생산해 우리나라 산업화는 물론 기존 서민 연료인 나무장작과 숯을 연탄으로 대체해 산림녹화에도 크게 공헌해 왔다.

그러나 사양산업으로 불리던 석탄산업은 최근 정부의 탄소중립과 탈석탄 기조로 더 큰 험로를 겪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공운위 소집 일정상 신임 석탄공사 사장 윤곽은 오는 10월에나 드러날 것으로 본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탈석탄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지만 이 과정에서 그동안 국가 근대화에 기여한 탄광 노동자와 탄광지역 경제에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