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모레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연구 과정 공유

공유
0

아모레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연구 과정 공유

김진홍, 박현우, 우재성, 정인경, 주영석 교수 2017년부터 연구비 총 200억 지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사진 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과 신진 과학자들이 'SUHF Symposium 2021'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아모레퍼시픽이미지 확대보기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사진 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과 신진 과학자들이 'SUHF Symposium 2021'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 서경배과학재단은 지난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린 'SUHF Symposium 2021'에서 3년차 신진 과학자의 연구 과정과 중간 결과를 공유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조 강연은 RNA(리보핵산) 분야의 세계 석학인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좌교수가 진행했다. 김빛내리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최신 연구를 소개하고 신진 과학자의 연구 과정을 격려했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서경배과학재단은 2017년부터 해외 연구자 3명을 포함해 총 20명의 한국인 과학자를 선정, 총 2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신진 과학자는 연간 최대 5억 원의 연구비로 연구 자율성을 보장받으며 자신의 분야에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2018년 서경배과학재단이 선정한 김진홍, 박현우, 우재성, 정인경, 주영석 교수 등 신진 과학자 5명의 연구는 이미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먼저 김진홍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는 관절을 구성하는 결합 조직의 재생 신호 체계를 발견하고 결합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또 퇴행성 힘줄염, 연골육종암 등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을 찾고 치료법을 찾고 있다. 올해 1월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을 수상했다.

박현우 교수(연세대학교 생화학과)는 세포의 모양을 바꾸는 방법을 연구한다. 박현우 교수의 연구는 암 전이를 막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으며 지난해 9월 한림원과 과기정통부가 기획한 제1회 국가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됐다.

우재성 교수(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는 세포와 세포를 잇는 간극연접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다. 간극연접은 동물 세포에서 세포 간 물질을 빠르게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데 생물학적 중요도에 비해 단백질의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우재성 교수는 SUHF Symposium 2021에서 여러 간극연접 중 심장 세포를 이어 박동을 일으키는 간극연접 단백질의 구조와 기전을 소개했다.

정인경 교수(카이스트 생명과학과)는 DNA 타래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해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찾는다. 정인경 교수는 DNA가 접힌 3차원 구조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원인 중 하나라는 관점에서 파킨슨 병, 코로나19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을 찾고 있다.
주영석 교수(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는 DNA 서열 정보를 통째로 읽는 유전체 서열 분석 기술로 생리 현상을 규명한다. 세포에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를 찾는 연구부터 코로나19가 폐를 감염시키는 기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지난해 아산의학상 젊은 의학상 부문을 수상했으며 올해 8월에는 인간 배아의 발생 과정을 추적하는 연구를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2017년 서경배과학재단 첫 신진 과학자로 선정돼 4년차를 맞은 연구자들도 도전적인 연구 주제로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강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는 김빛내리∙김진홍∙김종서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새로운 시스템 분석 기법을 개발, 세포 노화와 오토파지(자가포식)의 관계를 규명해 올해 5월 '디벨롭멘탈 셀'에 게재했다. 노화 세포에서 일어나는 오토파지 현상을 규명해 노화 극복에 한 걸음 다가서고, 퇴행성 질환과 암 기전을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호 교수(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는 뇌질환 예방과 조기 진단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해 7월에는 다케다제약-뉴욕아카데미 과학 혁신가상 중 신진과학자상을, 지난해 9월에는 경암교육문화재단의 경암상을 수상했다.

이정호 교수의 연구 주제는 사람의 뇌에 생겨나는 체세포 돌연변이다. 최근에는 최신 유전체 분석 기법으로 조현병 환자의 조직을 분석해 조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발견했고 난치성 뇌전증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를 뇌척수액에서 검출하는 데도 성공했다.

임정훈 교수(UNIST 생명과학과)는 루게릭병의 새로운 치료 방법을 찾고 있다. 루게릭병은 발병 원인도, 치료 방법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신경 질환이다. 임정훈 교수는 유전 암호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번역' 과정에서 루게릭병의 병인을 파악하고 치료법을 모색 중이다.

최규하 교수(포항공대 생명과학과)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헨더슨 연구진과 함께 애기장대에서 교차율을 높이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교차는 생식 세포 분열 중 부모에게서 온 상동 염색체가 서로 섞이는 현상으로 종 내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는 과정이다. 교차 현상을 활용하면 기후 변화와 식량난에 대비할 작물을 효율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이하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a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