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 美모놀리스와 손잡고 국내 '청록수소 시장' 선점한다

공유
0

SK㈜, 美모놀리스와 손잡고 국내 '청록수소 시장' 선점한다

모놀리스, 세계 최초로 청록수소 상업화에 성공
내년 초 계약 맺어…2차전지 인조흑연 음극재 활용 연구도

장동현 SK㈜ 사장(왼쪽)과 로브 핸슨 모놀리스 CEO(최고경영자)가 13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SK㈜
장동현 SK㈜ 사장(왼쪽)과 로브 핸슨 모놀리스 CEO(최고경영자)가 13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SK㈜
SK㈜가 세계 최초로 청록수소 상업화에 성공한 미국 청록수소 기업 모놀리스(Monolith)와 합작법인을 세워 국내 청록 수소·고체 탄소 시장에 진출한다.

SK㈜는 최근 두 회사 경영진이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SK㈜ 측은 이날 “모놀리스의 기술 경쟁력과 SK㈜의 사업 역량을 결합해 친환경 원료 수요가 늘고 있는 국내 시장 사업 기회를 선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청록수소는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고온의 반응기에 주입해 수소와 고체탄소로 분해해 만드는 수소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블루수소 등과 함께 친환경 청정수소로 분류된다.

또한 청록수소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블루수소 생산에 필요한 CCUS(탄소 포집·저장)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고 그린수소에 비해 적은 전력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블루수소에서 그린 수소로 넘어가는 전환 과정의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장동현 SK㈜ 사장은 “청록수소를 SK 수소 생산 포트폴리오의 한 축으로 발전시키고 고체탄소 사업 개발도 공동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모놀리스는 타이어 주성분인 카본블랙, 제철용 코크스, 전기차 배터리용 인조흑연 등으로 가공이 가능한 친환경 고체탄소도 생산하고 있다.

SK㈜는 수소 사업 가치사슬(밸류체인)에 청록수소 포트폴리오를 추가해 수소 사업 로드맵을 본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2012년 설립된 모놀리스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반응기에 천연가스를 주입한 뒤 열분해하는 방식으로 고순도 청록수소를 생산하는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모놀리스는 청록수소 생성 과정에서 타이어 주성분인 카본블랙, 제철용 코크스, 전기차 배터리용 인조흑연 등으로 가공이 가능한 친환경 고체탄소도 생산하고 있다. 글로벌 타이어업계, 철강업계 뿐 아니라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등을 중심으로 친환경 고체탄소 수요가 늘어 향후 높은 시장 성장과 수익도 기대된다.

SK㈜는 지난 6월 주요 투자자로 참여해 모놀리스 이사회 의석도 확보했다. 당시 미국 최대 발전·신재생 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도 공동 투자자로 참여해 모놀리스 사업성과 경쟁력이 입증됐다.

모놀리스는 지난해 6월 미국 네브라스카 주(州)에 세계 최초 청록수소 양산 공장을 완공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업화 단계에 접어든 공정기술을 갖춘 업체로 평가 받는다.

모놀리스는 미국을 거점으로 글로벌 청록수소 생산시설을 계속 확장할 계획이다.

SK㈜는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모놀리스의 독보적 기술 경쟁력과 SK㈜의 사업 역량을 결합해 청록수소·고체탄소 등 친환경 산업 원료 수요가 늘어나는 국내 시장에서 사업기회를 선점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두 회사는 이르면 내년 초에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두 회사는 모놀리스의 친환경 고체탄소를 2차전지 인조흑연 음극재로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음극재는 배터리 수명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재다. 현재 음극재는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을 주원료로 쓰고 있다.

SK㈜는 수소 사업 육성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청정 수소 28만 톤(t)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워 미국 플러그파워와 국내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모놀리스 투자를 통해 수소 생산 포트폴리오를 늘리고 있다.

SK㈜ 관계자는 "국내외 파트너와의 협력과 과감한 투자를 바탕으로 블루수소, 청록수소 등 다양한 형태의 수소생산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생산-유통-공급에 이르는 수소 가치사슬을 통합 운영하는 글로벌 1위 수소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