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권, 대출비교 플랫폼 의존도 커져

공유
0

저축은행권, 대출비교 플랫폼 의존도 커져

10개 저축은행, 토스 · 카카오 등 '플랫폼 대출' 비중 2년간 20배 늘어

토스와 카카오페이 등 대출비교 플랫폼에 대한 저축은행·지방은행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자료=금융감독원이미지 확대보기
토스와 카카오페이 등 대출비교 플랫폼에 대한 저축은행·지방은행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자료=금융감독원
저축은행권의 토스 카카오페이 등 대출비교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7월 SBI·OK·웰컴 등 10개 저축은행의 누적 신규 개인신용대출금은 12조 2215억 원 이다. 이중 18.8%(2조 3080억 원)가 대출비교 플랫폼을 통해 이뤄졌다. 이들 저축은행의 2019년 당시 신규 개인신용대출 12조 2837억 원 중 0.7%(871억 원)가 플랫폼 대출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2년간 20배가량 늘었다.
특히 애큐온저축은행의 플랫폼 대출 비중은 전체 개인신용대출의 절반을 넘겼다. 애큐온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1조 422억 원 중 51.8%(5397억 원)가 플랫폼을 통해 취급됐다. 지난해 11.1%에서 5배 오른 셈이다.

모아저축은행 개인신용대출 3553억 원 중 43.9%(1558억 원), 한국투자저축은행 개인신용대출 9196억 원 중 42.7%(3929억 원)가 플랫폼을 통해 발생했다. 이 밖에도 KB 26.8%를 비롯해 웰컴 18.9%, 유진 18.4%, 상상인 9.2%, OK 8.6%, 페퍼 4.8%, SBI 3.8% 순으로 저축은행들의플랫폼 대출이 이뤄졌다.

지난 1년 동안 저축은행권의 대출비교 플랫폼 의존 경향도 두드러졌다. 시중은행에 비해 적은 점포수를 보유한데다가 코로나19 마저 확산되면서 비대면·온라인 영업쪽에 무게중심이 실린 탓이다. 실제 6월 말 기준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총 3257개다. 반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점포 수는 총 304개에 불과하다.

저축은행업계에선 플랫폼 활용이 영업 비용 측면에서 절약할 수 있어 긍정적으로 본다. 반면, 빅테크 종속 가능성도 우려한다. 특히 대출비교 플랫폼에서 취급되는 대출 중 80%가량이 토스·카카오 등 2개 사에 국한된 점 때문이다. 추후 금융사가 지불해야 하는 광고비나 수수료가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