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21 국감] "유럽·일본보다 앞선 LX국토정보공사 '디지털 트윈', 미래 먹거리로 키워야"

공유
2

[2021 국감] "유럽·일본보다 앞선 LX국토정보공사 '디지털 트윈', 미래 먹거리로 키워야"

김윤덕 의원 "LX '디지털 트윈' 기술력, 미국 83% 수준...유럽·일본·중국보다 월등히 앞서"
전주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LX 자체 사업비로 구축..."전국 확대 위해 정부차원 지원 필요"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김정렬 사장(왼쪽)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공동취재사진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김정렬 사장(왼쪽)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공동취재사진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의 '디지털 트윈' 기술 수준이 유럽·일본·중국 등보다 월등히 앞선 만큼 디지털 트윈을 우리나라의 미래 핵심기술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국토정보공사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의원은 "LX의 디지털 트윈 기술은 미래 국토정보공사를 이끌 핵심기술이자 대한민국 국가 핵심기술로 육성할 가치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의원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기술 선도국인 미국의 기술 수준을 100%라 하면 LX공사가 보유한 디지털 트윈 기술 수준은 83.0%, 중국 16.7%, 일본 13.0% 유럽 7.0% 수준으로 평가된다.

LX공사의 디지털 트윈 기술력이 유럽·일본·중국을 월등히 앞서고 선도국 미국에 견줄 수준인 만큼 '기술 승자독식 시대'인 4차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 트윈을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문인 셈이다.

김 의원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극 세일즈해서 해외 우수기업과 경쟁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국내기업 기술교류와 신사업 개발 등 다양한 혁신활동이 촉진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세계와 똑같은 가상현실을 구축해 각종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예상되는 문제의 해법을 찾은 공간정보 기술이다. 방대한 디지털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센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등이 결집되는 스마트 SOC의 결정체로 불린다.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인 '디지털 트윈'을 주도하는 LX공사는 이미 전북 전주시에서 디지털 트윈을 실제 지자체 행정에 적용, 열섬현상 해소, 음식폐기물 수거체계 개선, 건물노후·화재 안전진단 등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에 활용하고 있다.

LX공사는 국내 최초의 디지털 트윈 기반 행정서비스 사례로 불리는 전주시 모델의 성과를 기반으로, 세종시, 시흥시 등 다른 지자체로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국수자원공사가 조성하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소방청의 소방방재 활동 등에도 디지털 트윈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 양천구에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양천구와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LX공사와 양천구는 안양천 좌측 5.4㎞ 구간과 양화교에서 오금교 사이의 35만㎡ 구역을 디지털 세계로 구현하기로 했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하는 안양천 명소화 사업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구민을 위한 최적의 실시설계를 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전주시 디지털 트윈 구축사업 등 LX공사의 디지털 트윈 사업은 주로 LX공사의 자체 사업비로 추진돼 왔다.

또한 디지털 트윈은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임에도 다른 대표과제에 비해 정부 예산 규모가 작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이러한 디지털 트윈을 체계적으로 전국 지자체에 확대하고 기술 고도화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국회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김 의원의 지적이다.

김윤덕 의원은 "전국에 디지털 트윈을 도입하는 비용이 약 6000억 원"이라며 굵직한 대형사고가 한번 발생하면 인적 피해와 복구 비용 등 천문학적인 사회 비용이 든다. 재난사고 예방 등에 디지털 트윈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도로, 철도 등 국가 주요시설 중 안전등급이 낮거나 안전관리가 필요한 곳에 이 기술을 선제 도입하자고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X공사 김정렬 사장은 "전국 지자체 229곳을 대상으로 5개년 사업을 추진하고 도시의 디지털화·분석·시뮬레이션·현실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 60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해 정부와 국회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