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올해 국감에서도 부실학회 지적받아…"징계 미흡했다"

공유
1

KAIST, 올해 국감에서도 부실학회 지적받아…"징계 미흡했다"

부실학회 참가 후 받은 출장비만 2억여원…주의·견책 수준 징계 그쳐

KAIST 전경.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KAIST 전경. 사진=KAIST
KAIST가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부실학회에 대한 지적을 받았다. 2018년 부실학회 논란이 우리나라 과학계에 처음 제기된 후 꾸준한 개선으로 참가 비중을 낮췄지만, 징계 수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AIST 교수와 연구원 등 77명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WASET, OMICS 등 부실학회에 61번 참가하면서 총 2억436만 원의 출장비를 받았다.
이 중 화학과 A모 교수는 2019년 OMICS 등 가짜학회에 대한 정부의 실태조사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에서 열린 학회에 참가하면서 항공비 340만 원을 포함해 총 643만 원의 출장비를 청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7년에는 건설및환경공학과 B모 교수가 WRL 학회에 1박2일 일정으로 참가하면서 항공비 380만 원과 체재비 507만 원 등을 청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부실학회 참가자에게는 주의·경고·견책 수준의 징계가 내려졌다.

KAIST는 부실학회 논란이 처음 제기된 2018년부터 꾸준히 발목이 잡혔다. 당시 교육부와 과기정통부 조사에 따르면 4대 과기원(KAIST, GIST, DGIST, UNIST) 모두 참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KAIST는 2018년 9월 기준 1회 참가자 40명, 2회 참가자 3명으로 전체 조사 대상기관 중 8번째로 많았다. 당시 조사는 238개 대학과 26개 출연연, 4개 과기원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 같은 부실학회 논란은 2019년 조동호 KAIST 교수(現 6G 연구센터장)의 과기정통부 장관 내정 당시에도 지적됐다. 당시 야당에서는 조 교수의 도덕성 논란을 언급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특히 OMICS 참석 논란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 결국 장관 후보에서 지명 철회된 바 있다.

이후 최기영 전 장관 내정 당시에도 부실학회 저널 논문 투고 의혹이 제기되면서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에게 부실학회 논란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검증 과제가 됐다.
다만 최근 들어 부실 위험 저널의 논문 게재 비중은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KAIST는 부실 위험 저널 논문 비중이 전국 주요 대학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이 지난해 5월 발간한 ‘한국 학자의 비올(Beall) 리스트 저널 논문 게재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연구자들의 부실 위험 저널 논문 비중은 2016년 5.7%에서 2019년 0.8%로 급감했다.

한국연구재단이 언급한 부실 위험 저널은 부실학회·학술지 목록으로 유명한 비올리스트에 오른 저널 중에서 엘스비어사가 운영하는 학술논문인용색인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학술지 404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KAIST의 스코퍼스급 논문 대비 부실 위험 저널 비중은 0.5% 이하로 서울대, 가톨릭대, UNIST 등과 함께 1% 이하 비중인 12개 대학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KAIST는 올해 초 이광형 총장 취임 이후 청렴도 개선과 함께 부실학회 근절에 나서고 있다. KAIST는 2019년 10월부터 출장시스템을 개선하고 부실학회 정보를 제공해 연구자가 스스로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학계가 스스로 부실학술지·학회 정보를 공유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한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을 마련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운영 중이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