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수원 사장도 "대형원전 건설재개 필요" 소신발언...해외 추세 살펴보니

공유
2

한수원 사장도 "대형원전 건설재개 필요" 소신발언...해외 추세 살펴보니

영국, 건설 중단된 웨일즈 원전 건설 재개 추진...미국, 원전 2기 수명 20년씩 연장
체코, "대형원전 건설" 골자 '저탄소에너지법' 지난달 제정...'두코바니' 원전사업 박차
학계 "소형원자로 상용화 시간 걸려...대형원전 건설재개해야 생태계 복원·탄소중립 가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정재훈 사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공동취재사진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정재훈 사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공동취재사진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정재훈 사장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건설 중단된 신한울 원전 3·4호기의 건설 재개 필요성을 잇따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그동안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이나 원전해체산업 육성, 원전업계 생태계 보호 등은 강조해 왔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 선봉장으로 불리며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대해서는 극히 말을 아껴온 정 사장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태도 변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뒤늦은 소신 발언'이라거나 '면피성 발언'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으나, 최근 탄소중립 선언과 에너지 대란을 전후해 원전에 다시 주목하고 있는 주요국의 행보를 보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는 정 사장의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 정재훈 사장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되길" 입장변화 '눈길'


정 사장은 지난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국회와 정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관해) 새로운 결정을 내리면 후속 조치를 성실히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데 이어, 21일 과방위 종합감사에서는 "정부 정책이나 전력 수급을 떠나서 원자력 생태계만을 따져본다면 한수원 CEO로서는 신한울 3·4호기가 건설 재개되서 숨통이 트였으면 좋겠다는 개인적 바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울 3·4호기는 지난 2017년 발전사업허가를 취득하고 약 10%의 공정률을 기록했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공사계획인가가 계속 지연돼 왔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배제됐다.

그러나 해외 주요국에서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는 최근 에너지 대란을 계기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일찍이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원자력 분야 최고난이도 기술로 불리는 '핵무기 해체기술(원전 해체기술과 다름)'을 가지고 있음에도 원전을 짓지 못하는 영국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SMR 개발에 투자는 물론 웨일즈 북부 일대에 추진하다 중단된 '윌파' 원전 건설도 다시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 비중을 줄이고 있던 프랑스 역시 지난 12일 원전 산업에 10억 유로(약 1조 4000억 원)을 투자하는 '프랑스 2030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한수원이 '두코바니' 원전 수주에 공을 들이고 있는 체코에서는 지난달 16일 '저탄소에너지법(Low Carbon Energy Act)'이 의회를 통과해 같은 달 27일 대통령 서명을 마쳤다.

이 법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대형원전 건설에 적극 나서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두코바니 원전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94기의 원전을 운영 중인 미국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지난 5월 원전 2기의 수명을 20년 연장해 최대 80년간 가동하도록 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10년만에 처음으로 2050년 세계 원자력 발전량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원전의 연료인 우라늄 가격은 최근 글로벌 에너지 대란으로 원전 가동률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 하에 국제시장에서 최근 2개월새 가격이 50% 급등했다.

성풍현 KAIST 명예교수(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는 "장기적으로 세계 원전산업의 추세가 SMR로 가는 것은 맞지만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한 뒤 "2050년 탄소중립이나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은 대형원전 없이 달성할 수 없는 만큼 SMR 개발 투자와 병행해 현재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등 대형원전의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