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힘든 작년도 350억달러였는데...올해 건설 해외수주 300억달러 '빨간불'

공유
0

힘든 작년도 350억달러였는데...올해 건설 해외수주 300억달러 '빨간불'

11월 말 213억달러 그쳐 전년대비 20% 급감...300억달러 달성도 비관적
북미·유럽 급증에도 '텃밭 중동' 절반 수준…"시장 불확실" 입찰참여 저조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달 준공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터미널 전경. 사진=현대엔지니어링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달 준공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터미널 전경. 사진=현대엔지니어링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올해 건설사의 해외수주 실적이 지난해와 비교해 20% 가량 급감해 정부와 건설업계의 속을 태우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 발생 첫해 위기에도 해외건설수주액 350억 달러 가량을 채웠던 국내 건설사들은 올해 300억 달러 달성도 힘겨워 하는 모습이다.
최근 유가가 급등하고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으로 수주 상황이 개선되긴 했으나 올해 수주목표(300억 달러)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30일 해외건설협회의 집계에 따르면, 29일 기준 국내 건설사들의 연간 해외건설수주 중간 합계액은 약 213억 229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03억 5005만 달러)보다 20% 크게 줄었다. 수주 건수도 401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 탓에 해외건설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데다 국내 건설사의 해외수주 ‘텃밭’인 중동지역에서 공사 발주가 급감한 것이 해외실적 부진의 주된 이유로 꼽힌다.

지역별 수주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태평양·북미·유럽에서 수주가 급증한 반면에 중동은 급락하는 지역간 ‘냉온탕 실적’을 보였다.

지난달 29일 기준 국내 건설사의 중동지역 수주액은 57억 6418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절반(45%) 수준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태평양·북미지역 수주액 39억 318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742%, 유럽지역 수주액 23억 7277만 달러로 227% 각각 크게 늘어난 것과 현격한 대조를 보였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토목(도로)과 산업설비(가스저장시설) 공종을 중심으로 수주가 잇따랐던 유럽과 북미·태평양 지역과 달리 중동에서는 발주가 줄어들며 올해 목표로 설정했던 곳간을 채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최근 유가가 오르고 있어 내년에 중동지역의 발주 증가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해외건설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 입찰 참여에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해외 수주량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해외건설협회 통계에서 올해 3분기 기준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입찰 참여 규모는 341억 달러로 전년 대비 31.1% 감소했다.

협회 관계자는 “주요 건설사 대부분이 코로나19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걷히지 않고 있는 점을 우려하면서 당분간 해외건설시장 상황을 관망하면서 수익성 위주의 사업 중심으로 진출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해외건설협회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해외건설협회

이같은 상황을 종합해 보면 올해는 연초 해외건설 수주 목표인 300억 달러를 달성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건설사들이 300억 달러 실적을 달성하려면 남은 1개월 만에 약 87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주해야 하는데 시간과 시장환경의 요인을 고려했을 경우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국내 건설사들은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해외에서 351억 달러 규모의 일감을 확보했다.

이에 정부는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 건설 수주 300억 달러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전방위 지원에 나서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글로벌 인프라 협력 컨퍼런스 2021(GICC 2021)’ 행사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전세계 주요 20개국의 47개 발주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해 현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놓고 우리 기업들과 화상면담을 진행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GICC 행사 등을 통한 외교 지원 외에도 국책펀드를 활용한 금융지원, 코로나19 등 불가항력 발생 시 발주처 협상 지원, 법률자문 제공 등 해외건설 수주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들을 적극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