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겔싱어 인텔 CEO “美정부, 미국 반도체 업체에 더 투자해야”

공유
0

겔싱어 인텔 CEO “美정부, 미국 반도체 업체에 더 투자해야”

포춘비즈니스테크 연설, 삼성전자·TSMC 투자 지원 불만 토로
미국서 얻은 IP 유출 막아야…CHIP법 연내 의회 통과 희망

펫 겔싱어 인텔 CEO.이미지 확대보기
펫 겔싱어 인텔 CEO.
펫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TSMC 등 아시아 경쟁국보다 미국 반도체칩 제조업체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하며, 국내 업체에 더 많은 지적재산권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내 업체에 더 많은 지적재산권(IP) 통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닛케이 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겔싱어 CEO는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하프 문 베이에서 열린 ‘포춘 브레인스톰 테크(Fortune Brainstorm Tech)’에 참석해 최근 미국에 투자를 결정한 해외기업에 중앙·지방정부의 지원 방안과 관련한 자신의 불편한 입장을 이같이 토로했다.
중국을 배제하는 공급망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워싱턴이 추진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의 자국 투자유치 정책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주 170억 달러를 투자해 텍사스에 새로운 칩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6월에는 타이완 TSMC가 애리조나에 120억 달러 규모의 칩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겔싱어 CEO는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중앙·지방 정부의 과도하다 싶은 투자와 인센티브 제공이 자칫 미국 국내 업체에 역차별로 비쳐질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 연구·개발(R&D) 활동을 통해 획득한 IP를 미국에서만 활용하는 게 아니라, 투자업체의 본사로 가져가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IP의 미국 자산화’ 필요성도 거론했다.

그는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기 위한 법안이 계류 중인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삼성과 TSMC를 지원해야 했을 것”이라면서도 마이크론과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에는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여기가 IP를 원하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반도체지원법(CHIPS for America Act)’은 미국 반도체 제조산업에 할당된 520억 달러를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칩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상황 속에서 타이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겔싱어 CEO는 “타이완은 안정적인 곳이 아니다. 중국은 이번 주에 27대의 전투기를 타이완 방공식별구역에 보냈다”면서 “그렇게 하면 마음이 편해지는가, 덜 느끼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TSMC와 삼성의 다음 팹(반도체 공장)을 미국으로 가져오면 지정학적 위험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에 투자하는 것은 R&D 결과물을 소유하는 것과 같은 더 큰 이익이 될 것”이라면서, ““여러분은 이와 관련된 IP, R&D, 세금 흐름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가, 아니면 그것이 아시아로 돌아가기를 원하는가”라고 되물었다.

인텔은 지난 9월 애리조나에 200억달러를 투자한 반도체 공장 2곳을 착공했다. 겔싱어 CEO는 인텔은 ‘반도체 제조’ 회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텔은 반도체 칩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유일한 주요 미국기업이다.
겔싱어 CEO는 인텔이 현재 반도체 제조업계 선두주자인 TSMC, 삼성과 경쟁하려면 정부 보조금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 통계 사이트 스타티스타(Staista)에 따르면, TSMC는 현재 전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시장의 52.9%를 점유하고 있으며, 삼성은 17.3%를 차지했다.

그러면서 타이완과 한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0~40%의 보조금을 가지고 어떻게 경쟁하느냐? 이는 우리가 TSMC와 삼성이 아니라 타이완, 한국과 경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중국의 보조금은 훨씬 더 크다”고 역설했다.

인텔은 CHIPS 법안을 찬성하고 있으며, 겔싱어 CEO는 이달 말까지 의회가 법안을 통과시키겠다는 계획이 “희망적”이라고 전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