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경제계, 고용 늘리려 해도 인력난에 막혀…레저·호텔 큰 타격

공유
0

美 경제계, 고용 늘리려 해도 인력난에 막혀…레저·호텔 큰 타격

'월가 족집게' 손성원 박사가 보는 2022년 미국 경제 전망

더욱 비싸지는 음식료와 임대료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더욱 비싸지는 음식료와 임대료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2022년 미국 경제는 지난해에 이어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비록 미국이 지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인력난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사태에 직면해 있지만, 성장세를 지킬 수 있을 것이다.

고공 행진을 계속하는 인플레이션은 미국 경제가 당면한 최대 현안이다. 게다가 오미크론 사태는 수요 보다는 공급에 타격을 줄 것이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일정 기간 잡히지 않으면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애초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경기 회복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5%에 달했을 것으로 추산한다. 미국 경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3.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 이유는 이렇다. 우선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의 전개와 함께 서비스 분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공급망 확충을 위한 투자와 기업의 제품 재고도 증가세이다. 미국의 주택 수요도 여전하다. 특히 교외 지역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 정부는 인프라 법안 시행을 통해 재정 지출을 확대하려고 한다. 자동차 수요가 늘고 있고, 특히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자동차 시장 전망이 밝다.

문제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구인난과 인력난이다. 미국 산업계에서 노동력 부족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등을 우려해 일터를 떠났던 근로자 중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복귀할 것으로 본다. 미국의 실업률은 올해 말에 3.7%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에서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들이 산업 현장의 인력난을 부추기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직장을 포기한 채 조기 은퇴를 결정한 사람들은 앞으로 일터에 복귀하지 않으리라고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미국 전체적으로 볼 때 노동 인구 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현재 미국의 소비자 저축 금액이 2조7000억 달러에 달한다. 바로 이런 이유로 일부 근로자들이 서둘러 산업 현장으로 돌아오지 않으면서 코로나19 상황 등 사태 추이를 관망하고 있다.

미국 근로자들이 지금 직장 복귀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 구인난에 직면한 기업들은 기존 근로자보다 많은 보수를 제안하며 신규 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봉급을 올리면 관망하고 있던 근로자들이 다시 일하러 나올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르면서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쌓아놓은 저축 금액이 줄어들어 보다 많은 근로자가 일자리를 찾아 나설 수 있다.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3~5%에 달할 것으로 본다.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공급난 때문만이 아니다. 주택 임대료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 부양 재정 정책은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demand-full inflation)을 유발했다.

산업 현장의 인력난으로 인해 올해 임금이 4~5%가량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임금 계층에서 가파른 봉급 인상이 이뤄질 것이다. 그렇지만, 기업은 임금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아무런 주저 없이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 이는 억눌렸던 가격이 급상승하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미국에서 임금 상승 행진은 이미 시작된 상태이다.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6~7%에서 올해에는 3~5%대로 내려올 것으로 본다. 공급 병목 현상이 누그러지고, 노동 인력이 증가하면 이것이 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연준의 올해 최대 미션은 인플레이션을 잡는 일이다. 연준은 올해 기준 금리를 1%가량 올릴 것으로 본다. 연준이 올해 물가를 잡으려고 공격적으로 통화 정책을 운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연준은 지금 인플레이션 통제와 오미크론 사태에 따른 경제난 해소 사이에서 발목이 잡혀 있다. 연준은 오는 3월 말에 자산 매입 축소 조처인 테이퍼링을 끝내고, 4월에 기준 금리를 올리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올해 가을에는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정책을 시작할 것이다.

오미크론을 비롯한 코로나19 새 변이는 언제든지 미국 경제를 끌어내릴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그런 시나리오가 전개될 가능성은 작다. 오미크론보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장기화 사태를 막으려고 금리 인상을 너무 서둘러 사태를 악화할 수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