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military] 일본, 중국‧북한‧러시아 극초음속 미사일 대응 '레일건' 개발 착수

공유
3

[G-military] 일본, 중국‧북한‧러시아 극초음속 미사일 대응 '레일건' 개발 착수

극초음속 미사일에 대응할 무기로 주목을 받고 있는 레일건.이미지 확대보기
극초음속 미사일에 대응할 무기로 주목을 받고 있는 레일건.
일본방위성은 중국‧북한‧러시아극의 초음속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레일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일건(railgun) 또는 전자기 레일건(electromagnetic railgun) 또는 전자기 발사기(electromagnetic launcher)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물체를 가속하여 발사하는 장치이다.
'꿈의 무기’로 불리는 레일건은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2개 레일 사이의 전자력을 이용해 탄환(발사체)을 음속보다 7배 빠르게 발사하는 첨단 무기다.

니케이아시아(Nikkei Asia)에 따르면 일본 군사 소식통은 “일본이 중국, 북한, 러시아가 개발하는 극초음속 무기의 대응에 서두르고 있다. 일본방위성이 자가 추진 발사체를 사용해 적대 미사일을 요격하는 수단을 개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일본 방위성은 자기장에 전류가 흐르면 발생하는 전력으로 발사할 수 있는 레일건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이 발사체는 기존 요격 시스템에서 발사되는 것보다 더 빠르고 연달아 발사할 수 있다.

차세대 시스템은 장거리 미사일과 함께 일본에 다층 요격 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음속 5배 이상 빠르게 이동하는 극초음속 무기는 실용화에 거의 근접해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해 10월 4개월 전 중국이 남중국해 상공에서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소리의 속도는 초당 약 343미터이다.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 9월 일본해에 발사한 미사일이 극초음속 장치라고 주장했고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을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
일본 정책 입안자들은 극초음속 무기를 차세대 군사 무기로 보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일본이 긴급히 억지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일본은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어떤 미사일도 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원점 타격 위주로 레일건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 정책 입안자가 전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불규칙한 궤적을 따라 비행하기 때문에 포물선 경로를 비행하는 탄도미사일을 공격하는 기존 요격 시스템이 이를 막을 수 없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일본 방어의 구멍"으로 평가되어 온 일본의 미사일 대응 능력을 강화할 것이다.

일본은 기존 미사일방어(MD) 체계에 레일건 요격미사일을 추가한 데 이어 장거리 미사일도 원거리에서 발사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시스템들은 함께 3단계의 억지력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일본 방위성 인수기술물류청(ATLA)은 레일건의 배후기술을 연구해 왔다. 군사용 레일건 장비의 시제품(프로토타입) 개발비 65억 엔(약 5600만 달러)이 2022 회계 예산에 포함되었다.

기존 요격미사일은 초속 약 1700m로 속도가 제한된다. 전자기 레일건에서 발사되는 요격 미사일은 초속 2000m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은 거의 초속 2300m의 속도를 달성했다.

레이건의 속도가 증가하면 극초음속미사일이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 요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요격미사일을 연달아 발사할 수 있게 되면 음속의 5배 이상을 달리는 미사일에 명중할 확률도 높아진다.

레일건은 다른 속도로 요격기를 발사할 수 있다. 가해지는 전력의 양을 조작함으로써 인터셉터(요격기)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런 결정은 공격용 미사일의 속도에 달려 있다. 재래식 추진체로 발사되는 미사일의 속도 조절은 어렵다. 레일건의 작은 "탄알"이 또한 그들에게 어느 정도의 은밀함을 준다.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레일건을 개발 중이지만 아직 실용화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는 게 일본 방위성의 설명이다.

레이건 총알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쉽게 전도할 수 있는 강한 물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자국 기업들의 첨단 소재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세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