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1.25%로 0.25%p 인상···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공유
0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1.25%로 0.25%p 인상···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기준금리 0.25%p 상승···지난해 8·11월 이후 세 번째 인상
올해 경제성장률 3% 수준 유지…물가상승률도 3%대 이어갈 것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지난해 3월 금리 인하 전(1.25%)과 같은 수준이다. 기준금리가 22개월 만에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셈이다. 한은 측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요인으로 소비자물가의 가파른 상승세를 꼽았다.

14일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은이 지난 11월 0.25%포인트 인상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지난해 3월 이전(1.25%)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당초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8월 이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내비쳤다. 특히 이 총재는 올해 신년사를 통해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하겠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금융권 예상을 다소 벗어났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5일까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설문 조사한 결과 57명이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 다른 43명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해당 조사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의사록이 공개되기 전 설문조사인 만큼 미국의 조기긴축 가능성이 고려되지 않은 결과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 이자부담 상승도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9월 한은은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0.5%포인트 상승 시 가계의 연간 이자부담이 각각 3조2000억 원, 6조4000억 원씩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를 감안하면 차주 1인당 연간 이자부담규모가 기존 289만6000원에서 각각 16만1000원, 32만2000원씩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단순 추산해 보면 지난해 8월 기준금리가 본격 인상하기 전(0.5%)에 비해 차주 이자 부담이 48만 원 이상 증가하는 셈이다.

한은 측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 배경으로 급격한 물가 상승세를 꼽았다. 실제로 석유류 및 농축수산물 가격의 높은 오름세가 지속되고, 석유류를 제외한 공업제품 및 개인서비스 가격의 상승폭 확대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후반으로 상승했다.
이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 전망경로를 상회하여 상당기간 3%대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연간으로는 2%대 중반 수준을 상회할 전망이며,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올해 중 2%를 상당폭 상회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한은은 수출의 견실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민간소비 회복 흐름이 재개되면서, 국내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치와 같은 3% 수준으로 내다봤다.

금통위 관계자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나 국내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