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조선인 징용 피해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공유
0

일본, 조선인 징용 피해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우리 정부 “강제노역 피해 현장 등재 추진에 강한 유감”
사도광산, 조선인 2000명 징용 현장 ‘제2의 군함도’


사도 광산 메이지 시대 갱도. 사진=연합이미지 확대보기
사도 광산 메이지 시대 갱도. 사진=연합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결정하면서 한일 관계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는 28일 저녁 총리관저에서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추천과 관련해 "올해 신청해서 조기에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등재 실현에 지름길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등재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참가하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설치해 역사적 경위를 포함한 다양한 논의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기시다 내각의 검토 과정은 한국 정부의 반발과 심사 탈락 가능성 등을 고려한 추천 보류 기조에서 막판에 강행으로 바뀐 모양새다.

일본 정부는 추천 시한인 다음달 1일 우리의 국무회의 격인 각의를 열고 승인 절차를 거쳐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보낼 전망이다.

등재 여부는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회의회(ICOMOS·이코모스)가 현지 조사를 포함한 약 1년 반 동안의 심사를 거쳐 내년 6~7월에 결정된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우리 측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시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키로 결정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일본이 하시마(일명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의 조선인 강제노역을 설명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지난해 7월 세계유산위원회가 심각한 유감을 표명한 일도 거듭 일깨웠다.

조선인 강제노역의 또 다른 현장인 일본 근대산업시설은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됐으며, 당시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함께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한 바 있다.

사도 광산은 에도(江戶) 시대(1603년~1867년)부터 금 생산지로 유명했던 곳이다. 메이지(明治) 시대(1868~1912년)에는 기계화 시설이 도입돼 근대 광산으로 탈바꿈했고, 태평양전쟁(1941~1945년) 기간에는 철과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활용됐다.

태평양전쟁 시기에 조선인이 사도 광산에 대거 동원됐다. 사도 광산에 동원된 조선인을 연구한 히로세 데이조(廣瀨貞三) 일본 후쿠오카(福岡)대 명예교수가 지난해 10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적어도 2000명 정도의 조선인이 강제노역에 동원된 것으로 추정됐다.


석남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ton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