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테슬라, 中 CATL과 합작 美 배터리 공장 추진...LG엔솔 등 한국 업체에 미칠 파장은

공유
11

[초점] 테슬라, 中 CATL과 합작 美 배터리 공장 추진...LG엔솔 등 한국 업체에 미칠 파장은

포드와 CATL 합작 모델 따라 CATL의 기술 지원 받는 방식

테슬라.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테슬라. 사진=로이터
미국 포드 자동차에 이어 테슬라도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중국의 CATL과 합작으로 미국 텍사스주에 배터리 공장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는 CATL과 합작 문제를 백악관 측과 이미 협의했다. 테슬라 관계자들은 백악관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북미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할 때 CATL과 합작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CATL과의 제휴가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포드와 CATL 간 합작과 유사한 제휴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포드 자동차CATL과 합작으로 미국 미시간주(州)에 35억 달러(약 4조 5447억 원)를 투자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 포드사는 디트로이트에서 160km 떨어진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 미시간 공장에서는 연간 140만 대 분량의 배터리 생산할 계획이다. 포드는 오는 2026년까지 연간 2백만 대의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이를 위해 이 공장이 가동되면 여기에 필요한 배터리 약 70%가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포드는 CATL 직원들이 미시간 배터리 공장에 상주하고, 일부 건설 장비를 중국에서 직접 수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지만, CATL이 이 공장의 운영에 관여하지는 않는다고 포드 측이 설명했다. 테슬라도 포드처럼 배터리 공장을 자체적으로 운영하되 CATL의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다.

CATL은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한다. LFP 배터리는 미국과 유럽에서 사용되는 니켈 코발트(NMC) 배터리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생산 단가가 낮다. 또 니켈 코발트 배터리에 비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화재 위험이 낮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고 IRA를 시행하면서 미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에 보조금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테슬라와 포드가 CATL과 제휴하는데 미국의 일부 정치인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정치권에서 ‘여당 내 야당 의원’으로 불리는 민주당 조 맨친 상원 에너지위원장(웨스트버지니아)은 조 바이든 대통령 정부가 IRA 입법 취지를 훼손하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화당의 중진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텍사스)은 중국 기업이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는 사태를 묵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도 포드 자동차가 CATL과 합작으로 미국 미시간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한 데 대해 미국 측에 강력한 항의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와 CATL의 합작은 IRA 제정 취지에 정면으로 어긋난다는 게 한국 측의 주장이다.
테슬라와 포드는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으려고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CATL 기술을 지원하는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IRA에 따르면 전기차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북미에서 제조·조립된 부품이 일정 비율 이상 들어간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 테슬라와 포드는 이런 IRA 조항을 우회하는 전략을 동원하려 한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이 공룡으로 성장해가고 있다. 작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 상위 10중 6개가 중국 회사이고, 1위인 CATL은 시장 점유율이 40%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매출액 기준 시장 점유율 27.5%이고, 출하량 기준 39.1%를 차지하며 1위를 유지했다.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이 12.3%로 2위였고, 삼성SDI6.0%, SK온4.6% 4위와 5위에 올랐다. 출하량 기준으로 보면 LG에너지솔루션14.9%로 2위이고, SK온6.4%, 삼성SDI5.2%로 각각 5위와 6위에 올랐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