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한 한은, “금융불균형 완화할 것”

글로벌이코노믹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한 한은, “금융불균형 완화할 것”

대내외 위험 요인과 물가 흐름 따라 완화 정도 조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경제 상황 개선에 맞춰 내년 통화 정책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내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

24일 한국은행은 ‘2022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보고서를 통해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서 안정되고 금융 불균형 위험이 완화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완화 정도의 조정 시기 관련, 한은은 “대내외 위험 요인의 전개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성장·물가 흐름을 살펴본다”며 “금융 불균형 상황, 주요국 통화 정책 변화 영향 등을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고 말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중 목표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글로벌 공급 병목 장기화, 수요 측 압력 확대, 인플레이션 기대 등의 영향으로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안정 측면관련, 한은은 “가계부채, 자산시장 등 상황을 유의하면서 통화 정책을 통한 ‘금융불균형 완화’ 노력을 지속한다”며 “과도한 차입에 의한 수익 추구 행위를 계속 완화하면서 가계 대출 증가세 등 추세적인 안정도 도모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한은 관계자는 “금융‧경제 여건 변화, 중앙은행 역할 확대 요구 등에 대응해 통화 정책 운영 체계를 재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국내외 통화 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시 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실시하겠다”고 강조했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