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새마을금고, 연체율 6% 또 비상…금융당국에 부실채권 매입 ‘SOS’

글로벌이코노믹

새마을금고, 연체율 6% 또 비상…금융당국에 부실채권 매입 ‘SOS’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또 급등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또 급등했다. 사진=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올해 초에 6%대로 오르면서 관계기관들이 이달 중 점검 회의를 열기로 했다.

새마을금고는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1조원 상당의 부실채권 추가 인수를 요청한 상황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캠코의 매입 여력을 먼저 따져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금융권과 새마을금고중앙회 등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1월 말 기준 연체율은 6%대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5% 수준에서 한 달 만에 1%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같은 기간 금융 당국이 관리하는 업권별 연체율 중 상승폭이 가장 큰 수준이다.

새마을금고는 작년 말까지 5%대 연체율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연체율이 급등하기 시작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유사한 성격의 건설 관련 대출 부실화가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이미 지난해 연체율 우려로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사태) 위기까지 겪었는데 이번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이미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말 1조원 가량의 부실채권을 캠코에 넘긴 상황이다. 현재도 연채율이 오르고 있어 대규모로 부실채권을 매각할 수 있는 통로가 캠코 외에는 마땅히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캠코 이외에도 다양한 연체채권 매각 통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캠코와 공동 출자한 부실채권(NPL) 펀드인 '새마을금고 금융안정 지원펀드'나 MCI대부주식회 매각 추진 등을 통해 연체채권을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