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브렉시트 협상 등…메이 영국 신임 총리의 당면 과제는?

공유
0

브렉시트 협상 등…메이 영국 신임 총리의 당면 과제는?

테레사 메이 영국 신임 총리가 13일(현지시간) 관저인 런던 다우닝가 10번에 들어서면서 직원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외신들은 그의 앞에 EU와의 탈퇴 협상이라는 엄청난 난관 외에도 국민투표로 분열된 여당의 융합, 국론 안정 등이라는 과제가 놓여져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테레사 메이 영국 신임 총리가 13일(현지시간) 관저인 런던 다우닝가 10번에 들어서면서 직원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외신들은 그의 앞에 EU와의 탈퇴 협상이라는 엄청난 난관 외에도 국민투표로 분열된 여당의 융합, 국론 안정 등이라는 과제가 놓여져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조은주 기자] 테리사 메이가 13일(현지시간) 영국 버킹엄궁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알현하고 제76대 영국 총리로 공식 취임했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협상을 이끌 새로운 수장의 탄생이다.

메이 총리는 취임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우리는 거대한 국가적 변화의 시대를 맞고 있다"고 강조하고 "우리는 위대한 영국이기 때문에 능력을 발휘해 넘어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러나 메이 신임 총리 앞에는 EU와의 탈퇴 협상이라는 엄청난 난관 외에도 국민투표로 분열된 여당의 융합, 국론 안정 등이라는 과제가 놓여져 있다는 게 니혼게이자이신문, BBC 등 외신들의 설명이다.

사라진 2개월의 유예 기간
메이 신임 총리와 총리직 자리를 두고 경합하던 앤드리아 레드섬 에너지차관의 경선 포기로 9월 이후로 상정됐던 총리 취임 시기는 돌연 2개월 앞당겨졌다.

총리 경선 기간 동안 EU 탈퇴 준비를 진행하려던 영국 정부에게 유예 기간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메이는 총리로 내정된 이후에도 "탈퇴 통보는 내년 이후"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조기 협상을 나서라는 EU 측의 압박은 점차 거세지고 있다.

"새 총리가 결정됐는데 왜 2개월을 낭비하느냐"는 피에르 모스코비시 유럽집행위원회 위원의 발언이 EU의 속내를 잘 말해주고 있다.

또 탈퇴 협상 전략도 확실치 않다는 점도 문제다. 영국 정부는 현재 내년 탈퇴를 EU 측에 통보하겠다는 점과 브렉시트부 신설 이외에 EU 탈퇴와 관련해 뚜렷한 전략을 밝히지 않고 있다.

메이 신임 총리는 이민 제한과 EU 단일 시장 참여를 모두 쟁취하려하고 있지만 '과실만 따먹기는 배제하겠다'는 EU의 강경한 자세를 무너뜨리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당내 신뢰, 족쇄될 수도
메이 신임 총리의 두 번째 과제는 당내 화합이다. 그는 취임 성명을 마친 뒤 곧바로 새 내각을 이끌 장관 명단을 발표했다.

EU와 탈퇴 협상을 위해 신설되는 브렉시트부에 정치 베테랑인 데이비드 데이비스 의원을, 탈퇴 후 금융 시장 동요를 책임질 재무장관에는 보수당 대표 경선에서 메이를 지지했던 필립 해먼드 외무장관을 각각 기용했다.

메이 총리는 자신이 역임했던 내무장관직에 여성 의원인 앰버 러드 에너지장관을 기용했고 EU 탈퇴를 주도했던 보리스 존슨 전 런던시장도 외무장관으로 끌어들였다.

이번 메이 내각의 가장 큰 특징은 EU 잔류파와 탈퇴파가 두루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외신들은 이를 두고 브렉시트로 불거진 당과 국민들의 분열을 치유하려는 의도라고 평가하면서도 메이 신임 총리의 독자적인 색채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 당원 투표에 의한 결선 투표를 거치지 않고 당수가 되어버린 상황이라 당 전체의 신뢰를 얻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일각에서는 '철의 여인'이라 불리던 마가렛 대처 만큼의 뚝심과 리더십이 없다면 당내 내분으로 탈퇴 협상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내정 안정, 실현 가능성은?
메이의 세번째 과제는 국민투표로 나타난 영국 내 혼란과 분열의 회복이다. 이번 국민투표의 가장 큰 특징은 '런던 vs 지방' '노년 vs 젊은 층'이라는 국론 분열이 또렷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메이 총리는 취임 기자회견에서 지방의 예산 이양이나 저소득자 대책을 충실히 마련하고 "모두를 위한 국가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법인세 감세와 해외 자본 수용 등으로 경제 성장을 주도했던 캐머런 정권과는 다른 길을 걷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분배를 축으로 한 정책이 실제 가능할 지 여부는 미지수다.
조은주 기자 ej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