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한항공 1兆 유상증자 추진…한진칼 지분율 ‘새판짜기’ 격돌 예고

공유
4

대한항공 1兆 유상증자 추진…한진칼 지분율 ‘새판짜기’ 격돌 예고

이달 이사회에서 유상증자 안건 결의 앞둬
한진칼 유상증자 불가피…지분율 변화 예고
조원태-3자 연합, 경영권 분쟁 2라운드 촉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사진=대한항공]이미지 확대보기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조만간 최대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항공업계가 고사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가 대한항공에 1조2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키로 함에 따라 회사 차원에서도 자금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대한항공의 유상증자가 대주주인 한진칼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에 또다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3일 언론과 재계 등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달 중 이사회를 열고 1조 원가량의 유상증자 추진을 확정한다. 이사회에서 유상증자가 추진이 의결된다면 정부가 지원키로 한 1조2000억 원과 유상증자 1조 원 등 모두 2조20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에 대한항공 추진하는 유휴부지 매각까지 성사된다면 유입 자금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앞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24일 대한항공에 운영자금 2000억 원 지원, 화물 운송 관련 자산유동화증권(ABS) 7000억 원 인수, 전환권 있는 영구채 3000억 원 인수 등을 통해 총 1조2000억 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은 유상증자와 함께 유휴자산 매각 계획을 포함한 자구안을 마련해 산은과 수은에 제출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의 유상증자가 현실화한다면 한진칼 경영권 분쟁이 재촉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한진칼은 대한항공의 지분을 보통주 기준 29.96%(우선주 포함 29.62%)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번 유상증자가 한진칼과 대한항공의 지배구조 새판짜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등 ‘3자 연합’과의 재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일반공모 방식이 유력한 가운데 대한항공이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선다면 지분율에 따라 한진칼이 3000억 원가량을 조달해야 한다. 이에 따라 한진그룹 지주사인 한진칼도 유상증자 자금 마련을 위해선 유상증자를 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로선 현진칼 재정 여력 상 유상증자를 위한 3000억 원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진칼 유상증자다. 일반공모로 진행한다면 주주배정 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3자 연합과 실권주 인수 경쟁이 불가피하다. 한진칼과 3자 연합간 지분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어서다. 이 경우 한진칼의 자금 투입 규모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진칼 중심의 3자 배정 방식으로 진행한다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진영의 지분 확대가 가능하지만 3자 연합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3자 연합은 올해 한진칼 지분을 늘려온 KCGI는 19.36%, 반도건설 16.90%, 조 전 부사장 6.49% 등 모두 42.75%까지 끌어 올려놨다. 반도건설의 의결권 제한으로 지난달 주총 당시 인정된 3자 연합의 지분율은 31.98%였다.

조 회장 측 우호지분율은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을 비롯해 동생인 조현민 한진칼 전무, 특수관계인, 델타항공, 대한항공 사우회, GS칼텍스 등 총 41.5%가량으로 이미 3자 연합에 밀린 상태다.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완패한 3자 연합이 하반기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반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분율이 취약한 조 회장으로선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유리한 고지에 올라설 수 있다. 때문에 일반 공모든, 3자 배정 방식이든 3자 연합도 한진칼 유상증자에 공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대한항공의 자구안 제출을 계기로 유휴자산 매각 작업도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대한항공은 송현동 부지와 왕산레저개발 지분, 제주 파라다이스 호텔 등을 매각하기로 하고 매각 주관사로 삼정KPMG·삼성증권 컨소시엄을 선정한 상태다. 5000억 원의 가치에 이르는 송현동 부지의 경우 서울시 등에서 매입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위치한 윌셔그랜드센터와 인천에 있는 그랜드 하얏트 인천, 제주칼호텔 등도 당장 매각을 검토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제기한 기내식과 항공정비(MRO) 사업부문 매각 등은 이번 자구안에 포함될지는 미지수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