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EU, 기후목표 달성 철강산업 탈탄소화 전략

공유
0

[초점] EU, 기후목표 달성 철강산업 탈탄소화 전략

유럽연합은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탈탄소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유럽연합은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탈탄소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철강 산업은 EU에서 약 5%, 전 세계적으로 7%의 CO₂를 배출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EU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5~10년 내에 새로운 저CO₂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할 필요가 있다.

철강 산업 탈탄소화


기존 CO₂ 집약적 자산에 재투자하면 고립된 자산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경제적 및 기술적 수명이 다하기 전에 자산을 폐쇄해야 한다.

유럽위원회 공동 연구 센터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EU 철강 산업은 탈탄소 전략으로 주로 수소 기반의 제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업계는 화학 물질 생산에 CO₂ 배출량을 포착하고 사용하는 방법으로 특히 화학 산업과 제휴하는 탄소 포획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철강 생산의 탈탄소화를 위한 업계 관계자들의 최근 노력을 설명하고, 획기적인 제강 기술(수소 기반 직접 환원 철(DRI) 탄소 포집 기술과 철광석의 전해 환원 기술)의 배치에 시범 프로젝트와 업계가 발표한 정보를 수집, 연구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탈탄소 전략


유럽 철강 생산에서 CO₂ 배출과 에너지 사용은 1960년 이후 이미 절반으로 감소했다. 이 부문은 1990년 수준에 비해 2050년까지 80~95%의 추가 감축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의 고로]
- 기본 산소 용해로 생산 경로는 CO₂ 집약적(일반적으로 생산된 조강 1톤당 1.6~2.0톤의 CO₂ 배출량)이다. 대부분의 EU 제강소가 최적의 효율에 가깝게 운영되기 때문에 업계는 탈탄소를 위해 수소 기반 제강 작업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

유럽 전역에서 발표된 여러 프로젝트는 수소를 이용한 철의 직접 환원을 기반으로 기존 철강 생산 공정을 새로운 철강 공장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파워EU 계획은 EU의 1차 철강 생산량의 약 30%가 재생 가능한 수소를 사용하여 2030년까지 탈탄소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한다.

비용


단기적으로 저CO₂ 철강을 만드는 것은 현재의 철강 생산 비용보다 더 비쌀 가능성이 높다. 수소 기반 철강 생산의 미래 비용은 재생 가능한 수소와 전기의 미래 비용에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불확실하다.

이 보고서는 재생 가능한 수소 원가의 강력한 감소와 CO₂ 배출 가격의 상승으로 2050년까지 수소 기반 제강 비용이 현재의 제강 비용과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외부 연구 결과를 수집하고 비교한다.

차액에 대한 탄소 계약과 같은 미래 탄소 비용의 불확실성을 헤지함으로써 저탄소 기술 배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저CO₂ 제강소를 배치하는 데 필요한 주요 투자는 이러한 솔루션(재생 전기 및 전송 네트워크, 수소 관련 인프라 또는 CO₂ 운송 및 저장 인프라)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병행해야 한다.

R&D의 역할


유럽 연합의 초저CO₂ 제강(ULCOS) 프로그램은 위원회의 공동 자금 지원을 받아 철강 산업을 위한 탈탄소 기술의 초기 개발에 기여했다. ULCOS는 유럽 철강 산업과 연구 환경에 걸쳐 47개 파트너를 모았으며, 산업계가 채택한 저CO₂ 공정 경로를 평가하고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보고서는 EU 산업이 초기 기술 개발에서 세계적인 리더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지표를 제시한다. EU R&D 프로그램은 초기 개발에서 중요한 지원 역할을 했지만, 여전히 최초의 시연과 상업적 배치를 지원하기 위해 주요 투자가 필요하다.

2021년 6월 공식 출범한 클린스틸 파트너십은 청정강 생산을 위한 다양한 획기적인 기술을 2030년까지 대규모 시연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파트너십은 R&D 투자가 2030년까지 약 26억 유로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파트너십은 호라이즌 유럽 양쪽에서 자금을 지원받을 것이다. EU는 이 메커니즘에 7억 유로를 기부한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