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호복 대신 가운 권고' 논란… "보호구 포함 세트" 해명

공유
0

'보호복 대신 가운 권고' 논란… "보호구 포함 세트" 해명

이미지 확대보기


대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싸우고 있는 의료진에게 정부가 '전신 보호복 대신 가운 사용을 권장했다'는 논란이 커지자 중앙방역대책본부가 29일 해명에 나섰다.
대책본부는 지방자치단체에 전달된 공문에 언급된 '가운'이 단순한 긴팔 가운이 아니라 장갑·보안경·호흡기 보호구 등이 포함된 '가운 세트'라며 "시행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논란은 지난 27일 방대본이 각 지자체에 발송한 공문에서 시작됐다.

공문은 "개인 보호구 사용기준을 변경했다"며 "검체 채취 시 전신 보호복 대신 가운을 권장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최근 보호구 소요량이 증가하고 의료기관의 건의가 있어서 선별진료소, 격리 공간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 전신 보호복이 아닌 가운 사용을 권장한다"며 "향후 레벨 D 대신 4종(가운·N95·고글·장갑) 세트로 배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선별진료소 의료진은 온몸을 완벽하게 가리는 '레벨 D 보호복'을 착용하고 있다.

레벨D 보호복은 마치 우주복처럼 보이는 흰색 방호복이다.
산업 현장에서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피부를 통해 감염되는 에볼라 바이러스 대응 과정에서 도입됐다.

방어력이 탁월한 만큼 안전하고 입고 벗는 데 상당한 훈련이 필요하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착용 상태에서는 땀이 흐르는 등 불편해 검사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과 함께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수급 문제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었다.

이 같은 의견과 학계 자문 결과 등을 토대로 개인 보호구 기준을 변경하기로 한 것이란 게 방대본의 해명이었다.

그러나 공문이 발송된 이후 코로나19 의료 현장에서는 의료진 감염 우려가 제기됐다.

검체 채취 때 재채기를 하는 등 돌발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 4종 세트로는 의료진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가뜩이나 코로나19 검사·치료 현장에 의료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의 '무성의한' 행정을 탓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최근 일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개인 보호구와 관련해서는 좀 오해가 있었다"고 했다.

권 부본부장은 "호흡기 검체를 채취할 때에는 전신보호복 레벨 D 또는 긴팔 가운 중에서 선택해 착용하는데, 단순히 긴팔 가운이 아니라 가운 세트"라며 "여기에 장갑이나 보안경, 호흡기 보호구 등이 같이 포함된 것으로 이를 통해 의료진 보호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방대본은 27일 배포한 자료에서 "전신보호복 대신 착용하는 가운은 일반 가운이 아니라, 바이러스 비말이 전신과 의복에 오염돼 간접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의 '일회용 방수성 긴팔 가운'을 의미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