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산업계, 중국 비자 발급 중단에 ‘초비상’

공유
1

국내 산업계, 중국 비자 발급 중단에 ‘초비상’

여객수요 감소에 저비용항공사 울상
면세업계 반한정서 악재 우려
중기부, 기업 애로사항 파악·대응방안 모색

중국이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국민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한 지난 10일 서울 시내의 한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 모습. 사진=연합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국민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한 지난 10일 서울 시내의 한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 모습. 사진=연합
중국이 방역강화 보복조치로 한국 국민에 대해 단기 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하자 국내 산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업종마다 이번 중국의 조치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하며 상황 파악과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항공업계는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당분간 여객 수요 감소가 불가피해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코로나 유행 기간 중국 노선 운항 자체가 많지 않았기에 단기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게다가 최근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 19 상황 악화를 고려해 중국 노선 증편 허가를 잠정 중단한 상태다.

중국을 경유하는 한국민에 대한 비자 면제도 중단했지만,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유럽이나 동남아를 여행할 때 중국을 경유하는 국민은 많지 않았기에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항공사 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 노선 탑승객 대부분은 비자와 관련 없는 중국인, 교포, 유학생으로 단기·경유비자 발급 중단 영향은 미미해 보인다”고 말했다.

자동차업계 역시 당장은 별다른 악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법인을 둔 현대자동차그룹의 경우 법인이 현지 업체와 합작사인 데다 현지 근무자들이 대부분 주재원이라 당장 단기비자 발급 중단의 영향은 없지만, 상황이 길어지면 일정 부분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중국에 생산시설을 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기업들도 현재로선 별 영향은 없지만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분위기다. 파견 근로자는 대부분 취업비자를 발급받기 때문에 단기 비자와는 무관하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딱히 해결책도 없어서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가 중국 상하이와 광저우에 공장이 있다. 한국콜마와 콜마비앤에이치도 베이징과 옌타이 등에 법인이 있다. 공장 생산 인력은 대부분 현지인이고 주재원들의 경우 장기비자를 가지고 있어 당장 직접적인 피해는 없어 보인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이에 달리 중국 방역 완화로 관광객이 늘 것으로 기대했던 면세업계는 걱정이다. 관계가 악화하고 반한정서가 고조되면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들도 이번 중국의 단기비자 발급 중단으로 판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꺾이는 분위기다. 그동안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감소세를 보인 대중 수출이 ‘위드 코로나’와 함께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또다시 복병을 만난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의 경우 내달 말 중국 광저우에서 열리는 치과 의료기기 전시회 ‘덴탈사우스차이나’ 참여 중소기업을 30곳 모집했지만, 이번 조치로 절반 정도는 참여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중국 현지에 법인이나 지사 등을 둔 업체만 참여할 수밖에 없게 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수출 중소기업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전국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및 제주수출지원센터에서 ‘중국 비자 발급 중단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접수센터’를 운영한다. 중소기업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관계 부처와 함께 신속하게 검토할 계획이다.

또 외교부, 산업부, 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중앙회 등 관련 협·단체와도 긴밀히 소통하며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중국의 단기 비자 제한 조치와 관련해 본격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단계는 아니라고 밝혔다. 다만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외교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와 협력해 우리 기업의 애로를 점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