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4.03.19 (화)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이집트

현지시간 2024년 03월 19일

0 0 : 0 0 : 0 0

비즈니스

■ 소비인구
이집트 통계청에 따르면, 인구 1억 1백만 8천 명(2021년 기준) 중 약 10%(720만~1,000만 명)는 연소득 1만 달러 이상의 탄탄한 소득 기반을 보유하고 있고, 인구의 52.4%가 만 24세 미만(2019년 추정치)으로 잠재력 있는 내수시장이다. (자료원: 이집트 통계청(CAPMAS))
■ 소비 성향
ㅇ 이집트 인구는 2021년 기준 이집트 통계청 자료로는 1억 1백만 8천명, UN 인구 통계 자료로는 9,569만 명으로 중동 아프리카 최대 인구 보유국이며 경제위기 이전 연평균 7%대 이상의 꾸준한 경제성장을 보였던 대표적인 Emerging Market으로 Post BRICs로 평가받았다. 또한, 이집트는 30세 미만 인구 비중이 전체의 60% 이상이고 주 소비 가능 세대인 30~59세 인구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향후 구매력을 보유한 거대 내수시장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ㅇ 지난 2013년 7월의 무르시 전 대통령 축출 사태와 2016년 11월 IMF 구제금융신청으로 인한 변동환율제 시행으로 소비 시장이 위축됐으나, 집권 1기 엘시시 대통령의 경제개혁과 경기부양책으로 집권 2기에도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매년 이집트 공공예산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경제성장에서 걸림돌이 되어온 보조금 제도 개혁 및 수에즈 운하, 원전 프로젝트 등 국가 대규모 인프라 구축사업을 진행하는 등 경제재건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ㅇ 한편, 국민의 절반가량이 저소득층으로 전체 구매력은 약한 편이나 상류층, 중산층의 비율은 각각 10%, 20% 정도로 이집트 내수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저소득층(극단적인 가격시장) 및 막대한 부를 가진 상류층(최고급 제품 소비시장)을 대상으로 한 이원화된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ㅇ 이집트의 극단적인 가격경쟁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현지 바이어나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제품개발이 필요하며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급선무다. 완제품 형태의 수출보다는 부품이나 반제품으로 수출한 후 현지에서 조립 생산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특히 이집트는 이미 EU, 터키, 아랍국가들과 FTA를 체결하고 있어 이집트를 발판으로 한 제3국시장에 대한 우회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이집트는 이메일이나 서신 교환을 통한 간접 마케팅보다는 면대면 접촉에 의한 직접 마케팅이 효과적이다.

ㅇ 기계류의 경우, 저렴한 노동력이 풍부하지만 기계 조작 기술이 떨어지므로 전자동 형태보다는 조작에 꼭 필요한 사양만을 갖추고 나머지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집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사전에 필수사양을 확인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ㅇ 고소득층 시장으로의 진입 시 이집트 시장은 브랜드 이미지가 상품 판매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유럽산 제품의 브랜드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에서 밀려 품질 강점을 통해 극복하려 했으나 실패한 사례가 존재한다. 따라서 먼저 가격 경쟁력을 가진 후에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가는 방법이 적절한 마케팅 방안의 하나로 볼 수 있다.
■ 한국 상품 이미지
ㅇ 이집트 승용차 시장의 한국산 자동차가 점유율은 높은 편이며,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현지투자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 한국산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이나 바이어들의 인지도는 좋은 편이다. KOTRA 카이로 무역관이 실시한 한국상품 인지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일본과 유럽국가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한국산 물건을 구입해 사용해 본 소비자의 경우 더욱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현지 바이어들의 경우 의도적으로 가격 인하를 위해 중국산, 대만산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ㅇ 자동차 시장과 전자제품 이외의 한국 제품에 대해서는 진출역사가 짧고 사용해본 경험자가 적어 인지도가 매우 낮은 편이어서 성과가 높지 않은 실정이나, 우리 기업의 의지에 따라서는 진출 여지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례로 식기류 제조업체인 N사는 이집트 시장에 진출한 지 3년밖에 안 됐으나, 현재는 인기 혼수로 팔릴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ㅇ 한편, 현대·기아차, 삼성의 휴대폰, LG의 TV 등 한국산 제품이 이집트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등 이집트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산 제품은 품질이 좋고 높은 기술력으로 평가되고 있기에 한국산 제품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상향 포지셔닝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이집트 소비자 및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식품, 의류, 화장품, 의약품 등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문의한 결과, 사용 경험이 별로 없고 브랜드 인지도가 없어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는 없었지만, 한국산 제품은 품질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은 대다수 일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활용해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타국 제품과의 경쟁에서 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