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원료의약품 자급화 20%에 불과…늘어날 수 있을까?

글로벌이코노믹

원료의약품 자급화 20%에 불과…늘어날 수 있을까?

코로나19 이후 의약품 품귀현상 지속
원료의약품 80%가량을 외국에 의존한 결과
인센티브·세제해택·생요건 완화 등 정책 필요
최근 들어 원료의약품 자급화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최근 들어 원료의약품 자급화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픽사베이
의약품 품귀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료의약품 자급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고 업계는 목소리를 높였다.

2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다양한 의약품의 품귀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원료부족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이로 인한 피해는 국민들에게 직결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유행할때부터 인플루엔자(독감) 등으로 감기약 품귀현상이 발생했다. 또한 영유아 사이에서 호흡기 질환이 발생했을 때에는 해열제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후에는 이같은 일이 다시 생길까봐 사재기를 하면서 일부지역에서 품귀현상이 장기화됐다. 감기약뿐만 아니라 변비약 등 일부 의약품에 대한 품귀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당시 정부는 임시방책으로 생산에 대한 약가를 보존해주겠다는 회유책을 내놓았지만 문제의 근원인 원료부족이 해결되지 않았기에 실효성이 없었다.

지난해에는 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기관과 정부가 협의한 끝에 국산 원료의약품을 사용한 완제의약품에 대한 약가우대 기간이 10년 연장됐다. 이같은 노력 끝에 국산원료의약품 자급도가 20%를 달성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부족하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국내 원료의약품의 대부분은 중국과 인도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중국의 비중이 높은 상황인데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원료수입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원료의약품을 국산에서 생산해 자급자족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제약사들이 원료를 직접 생산하지 않는 이유는 약가의 문제라는 것이 업계의 정론이다. 원료를 생산해서 의약품을 만들어도 약가가 낮기 때문에 이윤이 남지 않는다. 이같은 손해를 지속하기에는 제약사들에게 너무 큰 리스크가 된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약가인상이 필요하지만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기 때문에 어렵다. 이에 제약사들도 무리한 약가 인상보다는 그만한 혜택이 있으면 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인도의 경우 생산연계 인센티브제를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세제혜택이나 생산공장에 대한 요건 완화 등이 갖춰진다면 원료생산을 조금 더 검토해볼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제약사들이 원료를 생산할만한 메리트가 없다보니 쉽게 증산을 선택할 수 없다"며 "만약 품귀현상이 끝나면 유동적으로 생산라인을 변동할 수 있는 제도 등이 갖춰져야 원료의악품 자급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