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25학년도 서울 일반고 신입생 선발 ‘절대평가’로 바뀐다…상대평가에서 전환

글로벌이코노믹

2025학년도 서울 일반고 신입생 선발 ‘절대평가’로 바뀐다…상대평가에서 전환

서울시교육청, ‘2025학년도 서울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내년부터 서울 일반고등학교 선발 평가 방식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사진=이민지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내년부터 서울 일반고등학교 선발 평가 방식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사진=이민지 기자
2025학년도부터 서울 일반고등학교 신입생 선발 평가 방식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학년도 서울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29일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일반고 선발 평가 방식은 기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이는 학교 내 개인별 석차를 고입 전형방법으로 활용하는 현행 선발방식이 중학교 성취평가제 등 서울교육 정책 기조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교과학습 성취수준 및 출결 상에 대한 절대평가가 이뤄질 방침인데, 각각 80점(중2~중3)과 20점(전 학년) 비율로 평가된다.
아울러 국제고와 외국어고, 자립형사립고의 사회통합 전형 지원자 수가 모집정원에 미달인 경우 정원에서 지원자 수를 제외한 인원의 절반(50% 범위)을 학교장이 일반전형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했다.

고등학교는 입학생 선발 시기에 따라 전기고와 후기고로 나뉜다. 전기고는 특수목적고(산업수요맞춤형고)와 특성화고 등이며, 후기고는 일반고와 특목고(국제·외국어계열), 자율형사립고 등이다.

이 가운데 전기고와 후기 특목고·자사고는 학교장이 선발하며, 후기 일반고는 교육감이 선발한다.

나이스(NEIS) 생활기록부와 필수데이터를 가공하는 등 성적산출 업무는 서울시교육감이 맡게 된다. 교원 업무를 덜기 위해 중3 담임이 맡아오던 것을 개편한 것이다.

학교별 입학전형 실시계획은 학교장 선발고의 경우 4~8월, 교육감 선발고는 9월 초까지 각각 발표하도록 했다.

올해 서울지역 과학고는 8월 26~28일, 외국어고·국제고와 자사고는 12월 4~6일에 각각 원서접수를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교육청 홈페이지 교육정보-고입자료실과 서울고교홍보사이트 하이인포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줄고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이 이어지면서 2024학년도 서울 고입전형에서 평준화 이후 처음으로 지원자가 전원 합격해 이미 일반고는 고입경쟁이 거의 없어졌다. 2023학년도 불합격자도 지원자 6만1676명 중 76명으로 0.1% 안팎이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