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원전 현장 찾아 "脫원전 고난에도 기술로 버텨준 두산, 자부심 느껴"
"청년들이 좋아하는 일자리 만들겠다"…표심 잡기 행보 본격화
SMR 상용화·전기료 인하 등 에너지 공약으로 ‘AI 시대 전력 안정’ 강조
"청년들이 좋아하는 일자리 만들겠다"…표심 잡기 행보 본격화
SMR 상용화·전기료 인하 등 에너지 공약으로 ‘AI 시대 전력 안정’ 강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4일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를 찾아 차세대 원전 산업 육성 공약을 재확인했다. 김 후보는 "대통령이 된다면 두산에너빌리티는 단순히 하나의 회사가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열어갈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해 관심이 많다"며 SMR 등 차세대 원전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한국형 SMR을 상용화해 미래 원전 산업을 준비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앞서 김 후보는 10대 공약을 발표하며 AI 시대를 대비한 전력 확보 방안 중 하나로 원전 확대를 꼽은 바 있다.
김 후보는 두산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일자리 창출과 국가 지원 필요성도 짚었다. 그는 "마음껏 자기 뜻을 발휘하는 땅이 대한민국이고 그러할 때 우리 대한민국은 위대한 나라"라며 "청년들이 정말 좋아하는 일자리를 찾아서 능력을 발휘하는 그런 대한민국이 이뤄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둔 듯 김 후보는 "그동안 (두산이) 탈원전 등 여러가지 고난을 겪고도 힘차게 발전하는 현장을 보니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며 "두산이 세계적으로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발전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하다"고 했다. 김 후보는 방명록 메시지로도 원전 산업 육성과 국가 미래 비전을 표현했다. 이날 방명록에 '두산에너빌리티. 대한민국을 세계로! 미래로!' 등의 글을 적기도 했다.
그간 재계도 원전 산업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대한상의 등 경제5단체는 최근 대선 후보들에게 전달할 정책 제언집을 통해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정책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기반을 마련하고, SMR 등 차세대 원자로가 전력생산 공정을 효율화하는 만큼 실증사업 지원과 특별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후보는 이날 경남 진주 중앙시장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찾았다. 이어 오후에는 창원 산업단지와 양산 통도사 방문을 마지막으로 유세 일정을 마무리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