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AI기업 딜레마, 엔비디아는 못쓰고 자체칩은 '공급부족'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中 AI기업 딜레마, 엔비디아는 못쓰고 자체칩은 '공급부족'

화웨이의 자체 AI칩 어센드 910B의 제품 이미지.  사진=화웨이이미지 확대보기
화웨이의 자체 AI칩 어센드 910B의 제품 이미지. 사진=화웨이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이 격화되면서 중국의 인공지능(AI) 빅테크 기업들이 딜레마에 빠졌다. 급증하는 수요에 AI 데이터센터를 확충해야 하는데, 엔비디아 신형 AI칩은 성에 차지 않고 자국산 칩을 쓰자니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제조부터 난관이기 때문이다.

중국 AI칩 시장에서 9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잇따른 수출 규제 대상으로 지목되면서 자사의 주력 제품인 A100, H100 칩은 물론, 중국용으로 성능을 다소 낮춘 A800, H800 칩의 수출까지 막혔다.
이에 엔비디아는 미국의 성능 제한에 걸리지 않는 새로운 AI칩 H20, L20 등을 선보이고 올해 1월부터 순차적으로 중국 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도 지난 1월 중국을 비공식 방문하는 등 공을 들였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신형 AI칩에 대한 현지 반응은 신통찮다. 로이터는 지난 1일(이하 현지시간) 익명의 중국 현지 소식통들을 인용해 엔비디아의 신형 H20칩이 화웨이의 최신 AI칩인 ‘어센드 910B’보다 일부 핵심 성능에서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엔비디아가 중국 내 H20 공급 가격을 개당 1만2000~1만5000달러(약 1600만~2000만 원) 선으로 책정했다고 전했다. 화웨이 어센드 910B(개당 약 12만 위안, 약 2200만 원)보다 살짝 저렴하지만, 가격 대비 성나을게 없다는게 현지 전문가 현지 전문가들의 평이다.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9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던 비결은 중국 자체 AI칩과 비교해 압도적인 AI 성능을 제공해 왔기 때문이다. 신형 칩이 가격은 비슷하면서 성능이 자국산보다 나을게 없다면 무조건 엔비디아 제품만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게 현지 분위기다.

게다가,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 때문에 엔비디아는 중국에 H20 이상 성능의 제품을 출시할 수 없다. 암시장이나 보따리상 등을 통해 극소수의 고성능 엔비디아 AI 칩이 은밀하게 중국에 공급되고 있지만, 최소 수백~수천 개의 AI칩을 요구하는 데이터센터 등에 공급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닛케이아시아는 대다수 중국의 AI 기업들이 미국의 새로운 AI칩 규제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국산 AI칩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알리바바, 바이두와 더불어 중국에서 엔비디아 AI칩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텐센트의 마틴 라우 사장은 지난해 11월 실적 발표에서 “우리는 이미 여러 세대의 엔비디아 AI칩 재고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AI 개발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는 AI를 훈련하기 위한 칩을 국내에서 찾으려고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현지 빅테크 기업들이 화웨이를 비롯한 자국산 AI칩으로 눈을 돌리면서 기존 중국의 AI칩 개발사들도 신제품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하이곤 정보기술은 지난해 가을부터 자사의 AI칩 ‘DCU’의 출하를 시작했으며, 연말에는 바이두와 알리바바와 함께 새로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토종 GPU 개발사 무어스레드는 지난해 말 신형 AI칩 ‘MTT S4000’를 발표하면서 기존 엔비디아 제품과 쉽게 데이터가 호환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자체 AI 칩의 최대 고민은 늘어나는 국내 수요를 맞출 수 있는 대량생산 능력이다. 기존 엔비디아 AI칩보다 부족한 성능을 극복하려면 AI칩의 양이라도 늘려야 하는데, 중국 자체 제조 기술과 능력으로는 첨단 AI칩의 대량 생산이 어렵다.

화웨이의 어센드 칩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기업)인 SMIC의 7나노미터(㎚·10억분의 1nm) 공정으로 제조하지만,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수율(양품 제조 비율)은 고작 20%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의 칩을 만들면 4개는 불량으로 버리는 셈이다.

하이곤과 무어스레드 등은 이전까지 대만 TSMC의 7나노급 공정을 통해 자체 AI칩을 생산해 왔지만, 미국의 규제로 기존 재고 외에 신규 주문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동급의 제조 공정으로 중국 내에서 직접 생산하려면 맡길 수 있는 자국 내 마땅한 파운드리도 없다.

닛케이는 지난 1월 중국 정부 산하 연구기관을 인용해 중국의 글로벌 AI 산업 점유율이 2035년까지 30%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차체 AI칩 생산능력을 비롯한 중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이 늦어지면, 미국과의 기술 격차가 오히려 더 벌어져 중국의 AI 산업 진출이 제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