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후 변화로 가치 하락한 자산, 금융위기 촉발할 수도"

공유
0

"기후 변화로 가치 하락한 자산, 금융위기 촉발할 수도"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2023년 11월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2023년 11월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기후 변화가 극심해지면서 각종 손실이 천문학적 규모로 커지자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손실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은 기후 변화로 가치가 하락한 자산의 규모가 18조 달러에 달할 수 있으며, 이 자산들이 부실채권으로 전환되면 금융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국제결제은행 산하 바젤은행 감독위원회가 이 문제 대응에 나섰다. 이 위원회는 은행 자기자본비율, 위험 관리 등 규정을 제정하고, 은행의 건전성과 금융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정하고 협력하는 역할한다. 현재 28개 국가의 중앙은행과 은행 감독기관이 이 위원회의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어, 전 세계 주요 국가 은행들은 바젤의 결정에 영향을 받게 된다.

기후 변화로 인한 손실이 커지면서 은행 자산과 대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금융 시스템과 경제 전체에 위협을 주는 것은 명확하다. 석탄 화력 발전소 같은 자산이 부실채권으로 전환될 위험이 있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역 부동산 가치 하락, 폭염으로 인한 농업 피해, 홍수로 인한 기반 시설 피해 등이 수시로 발생해 투자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바젤 위원회가 제안한 규정은 은행이 석유 및 가스, 자동차, 화학 산업이 포함된 18개 부문에서 각각 대출 금액과 대출자가 배출한 온실가스 규모, 부실 대출 금액, 회수 불능 대출에 대해서 적립된 충당금 등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은행이 탈탄소화로 인한 잠재적 좌초 자산과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 위험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관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완화 조치다.

바젤 위원회는 의견을 수렴한 뒤 이르면 올해 하반기 최종 초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글로벌 은행 당국은 2026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규칙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 규정은 국제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기관에 구속력을 갖는다.

한편, 각국 주요 은행은 바젤 규정 제정에 앞서 탄소 중립 목표 설정, 석탄 사업 투자 감소, 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HSBC가 2030년까지 석탄 사업 대출을 중단하고, BNP 페어리버스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 목표 설정, ING는 2025년까지 석탄 발전 대출을 중단하고, 204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경우 JP모간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30%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목표를 설정했고, 시티그룹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1000억 달러의 환경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투자를 1조 달러 확대 및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목표를 설정했다.

일본은 미즈호 금융그룹이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5%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ICBC는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목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12.5%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KB국민은행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25% 감축 및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바젤의 규정 확정을 앞두고 이제 은행들은 탈탄소화로 인한 잠재적 사실상 가치가 없어진 자산과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 위험을 적절히 평가하고 향후 공개해야 한다.

이는 은행들이 자신의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차용자에게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