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IMF “美, 2024년 하반기까지 금리 인하 미뤄야…증세도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IMF “美, 2024년 하반기까지 금리 인하 미뤄야…증세도 필요”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건물 밖의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건물 밖의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금리 인하 제도와 증세 제도의 정책 수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8일(현지시각) IMF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를 향해 2024년 하반기까지 금리 인하를 하지 않아야 하며, 미국 정부는 연방 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증세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전했다.

IMF는 미국 경제정책에 대한 검토(4자 협의) 종료 후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연초 데이터에서 뚜렷하게 부각된 인플레이션의 현저한 상승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인플레이션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2% 목표에 지속적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더 명확한 증거가 데이터로 제시된 후에야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금리 인하 시기는 2024년 하반기라고 명시했지만,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은 상태다.

또 IMF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중기적으로 팬데믹 이전 예측을 크게 웃돌아 2020년 98.7%에서 2029년 109.5%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서 이러한 높은 수준의 재정적자와 부채는 미국 및 세계 경제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며 연소득 40만 달러 미만 개인을 포함한 누진세율 인상과 각종 세제 혜택의 폐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기업과 부유층에 대한 증세를 제안하고 있지만, 연소득 40만 달러 미만 개인에 대한 증세는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반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재임 당시 시행한 감세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중산층과 기업에 대한 추가 감세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