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하이닉스 미국 반도체 공장, 38억7000만 달러 규모 부지 구역 변경 승인

글로벌이코노믹

SK하이닉스 미국 반도체 공장, 38억7000만 달러 규모 부지 구역 변경 승인

주민들 "건강 위협" 우려에 7시간 마라톤 회의 끝 시의회 6대3으로 통과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제안된 SK 하이닉스 첨단 칩 패키징 시설(south perspective). 사진=SK하이닉스이미지 확대보기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제안된 SK 하이닉스 첨단 칩 패키징 시설(south perspective).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미국 웨스트 라파예트에 짓는 첨단 패키징 공장 부지의 구역 변경이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 속에서도 승인됐다. 퍼듀 엑스포넨트는 지난 6(현지시각) SK하이닉스가 387000만 달러(53000억 원) 규모 반도체 공장 부지 조성을 위한 구역 변경 안건이 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웨스트 라파예트 시의회에서 63 표결로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구역 변경으로 칼베러 로드 북쪽과 예거 로드 동쪽에 있는 퍼듀 리서치 재단 소유 121에이커(49만㎡) 땅이 주거용에서 산업용으로 바뀌게 됐다.

다만, 시의회 공청회에서는 구역 변경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찬성하는 주민보다 4배 많았다. 퍼듀대학 교수, 응급 구조원, 암 생존자, 신경외과 의사, 티페카누 카운티 보건 담당관 시마 켄게리 박사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의견을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지난 4월 인공지능에 필요한 고대역폭 메모리 칩을 만드는 첨단 칩 패키징 시설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첨단 칩 패키징은 여러 작은 컴퓨터 칩을 함께 쌓아 하나의 슈퍼칩을 만드는 과정이다.
주민들 과불화화합물 사용 우려....SK하이닉스 "사용물질 예로는 구리와 알콜이 있다"

시의회 회의에서 지역 주민들은 반도체 산업에서 널리 쓰이는 '화학물질'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에 대해 우려했다.

주민 크리스티나 페레이로는 "과불화화합물은 뇌 활동, 신경 전달 물질에 변화, 손상, 붕괴를 일으킨다. 반도체 패키징은 과불화화합물을 써야 한다""과불화화합물은 공기를 통해 퍼진다"고 걱정했다.

이에 SK하이닉스는 연방정부에 "과불화화합물을 허가된 처리 및 처분 시설의 외부 관리를 위한 폐쇄형 대량 저장 시스템으로 분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시의회 의원들이 웨스트 라파예트 공장에서 쓸 화학물질을 묻자 박노혁 SK하이닉스 엔지니어 겸 안전환경보건환경팀장은 통역을 통해 "예를 들어 구리와 알코올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슈이 웡 퍼듀대학 수학과 교수는 "사람들이 인구가 많은 주거 지역에, 특히 사고와 위험 물질을 부적절하게 다룬 이력이 있는 회사가 환경과 안전에 위험한 중공업 공장을 짓지 않는 상식을 잃은 이후로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구역 변경을 반대하는 온라인 청원은 시의회 회의 전에 2500명 이상 서명했다. 청원서를 낸 마니시 자인은 "퍼듀, 퍼듀 리서치 재단, 직원들 사이에 엄격한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많은 직원들이 이 청원서에 서명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시 공무원"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제레미 슬레이터 퍼듀 리서치 재단 부동산 및 파트너십 담당 부사장은 "이번 투표는 웨스트 라파예트와 퍼듀의 더 나은 미래를 확보할 한 세대에 한 번 뿐인 기회"라며 "우리는 A 부지 용도를 산업용에서 사무실·연구용으로 낮추고, 대신 B 부지를 SK하이닉스에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이는 결국 SK하이닉스 공장을 길 건너편으로 이전하는 타협안"이라고 설명했다.

김능구 SK하이닉스 웨스트 라파예트 부사장은 "이 제안은 이 지역의 산업 이용이 순 증가하지 않게 보장하는 타협안"이라며 웨스트 라파예트 공장의 미래 근로자들을 "가족이자 소중한 자산"으로 표현하며 "그들을 안전하지 않은 작업 환경에 노출시켜 위험에 빠뜨린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시의회는 지난 6일 새벽 125분에 63으로 구역 변경을 승인했다. 웨스트 라파예트 시장 에린 이스터는 회의에서 "이것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SK하이닉스를 우리 지역사회에 맞이하는 것 뿐 아니라 그들이 이곳에서 약속한 것들에 책임을 지게 하는 첫 단계일 뿐"이라고 말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