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비자 규정 완화로 관광객 1억3000만 명 유치...상하이 40% 늘어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비자 규정 완화로 관광객 1억3000만 명 유치...상하이 40% 늘어

"풍부한 역사와 미래 도시 매력" 내세운 관광정책 변화...관광수입 942억 달러 기록
중국이 최근 비자 규정을 크게 완화하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최근 비자 규정을 크게 완화하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최근 20개월 동안 비자 규정을 크게 완화하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경제를 살리고, 중국의 현대적이고 친근한 이미지를 알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고 지난 5(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비자 완화, 관광객 급증...상하이 400만 명 돌파


중국 정부는 호주, 독일, 일본 등 47개 나라 국민에게 30일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미국과 인도네시아 등 55개 나라 국민에게는 도착 시 10일 환승 비자를 내주고 있다. 이런 조치로 지난해 중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3000만 명에 이르렀고, 관광수입은 942억 달러(1286300억 원)으로 2019년 수준에 가까워졌다.

올해 상반기 상하이로 들어온 국제 관광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40% 늘어 400만 명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한국, 태국, 일본에서 온 방문객이 가장 많았다. 베이징에서는 상반기 84만 명 넘는 외국인이 무비자 입국이나 경유를 신청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 배를 기록했다. 중국관광뉴스는 "관광객이 뚜렷하게 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새로운 여행지로 부상"...현대적 이미지 강조

중국은 자금성, 천단공원 등 전통 명소와 함께 충칭의 미래 도시 풍경, 상하이의 번화한 거리 등 현대적인 매력을 내세우고 있다. 베이징 포스트카드의 라르스 울리크 톰 대표는 "코로나19 이전보다 즉흥적으로 중국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중국관광아카데미 류샹옌 분석가는 "3년 동안 서구인들의 여행지 목록에서 중국이 사라졌지만, 최근에는 초고속 열차, 드론, 전기차 등 첨단 기술에 이끌려 방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다양한 나라 관광객들은 중국의 발전과 효율적인 교통에 감탄을 나타냈다.

소셜미디어 통한 이미지 개선...글로벌 인식 변화


틱톡과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서는 중국의 역사와 현대 도시 풍경을 소개하는 브이로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일부 블로거는 중국 관광청의 지원을 받았지만, 대부분은 진심 어린 감탄을 드러냈다. 미국 유튜버 대런 제이슨 왓킨스 주니어는 지난 5월 충칭에서 진행한 생방송으로 940만 뷰를 기록했다.

독일 리서치 기관이 5월 발표한 민주주의 인식 지수에 따르면, 96개 나라 중 76개 나라 응답자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미국에 대한 인식이 낮아진 데다, 중국의 평판이 나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지정학적 긴장 속 미국인 관광객 유치 과제


미국 국무부는 지난해 말 중국을 방문하는 미국인에 대한 여행 경보를 올렸다. 펜실베이니아 커먼웰스대 셩 딩 교수는 "지정학적 긴장과 코로나19 시기 비자 취소로 미국인들의 신뢰가 떨어졌다"고 말했다. WildChina의 제니 자오 이사는 "미국발 항공편이 줄고, 30일 무비자 정책이 적용되지 않아 미국인 입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 중국, 소프트파워 강화와 글로벌 브랜드 부각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문화와 기술을 앞세운 소프트파워 강화에 힘써왔다. 최근에는 팝마트의 라부부, 전기차 브랜드, BYD 등 중국 브랜드가 국제적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앱 디자이너 출신 첸 밍은 "충칭이 틱톡 시대에 어울리는 도시로 떠오르며, 젊은 해외 방문객에게 새로운 시각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비자 규정 완화와 관광객 유치 전략은 경제 활성화와 국가 이미지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함께 추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이 풍부한 역사와 첨단 기술을 앞세워 새로운 세계 관광지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