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낭비되는 태양 에너지'로 배터리 저장 인프라 부족 심각성 드러나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낭비되는 태양 에너지'로 배터리 저장 인프라 부족 심각성 드러나

이례적 몬순으로 전력 수요 감소… 그리드 불안정 해소 위해 태양광 발전 '축소'
2030년까지 61GW 에너지 저장 필요… 현재 6GW 미만, 배터리는 1GW뿐
2024년 4월 인도 구자라트주 카브다의 태양광 패널. 올해 이례적인 몬순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인해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발전소는 생산량을 줄이도록 요청받았고, 운영자는 청정 전력으로 더 나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저장 장치를 모색해야 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4월 인도 구자라트주 카브다의 태양광 패널. 올해 이례적인 몬순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인해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발전소는 생산량을 줄이도록 요청받았고, 운영자는 청정 전력으로 더 나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저장 장치를 모색해야 했다. 사진=로이터
인도가 태양광 발전 용량을 급격히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력망 안정성을 명목으로 태양광 발전이 축소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배터리 저장 시스템의 확장이 재생 에너지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이 명확히 드러났다.

특히 올해의 이례적인 몬순은 이러한 문제를 더욱 부각시켰다고 29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올해 몬순은 예년보다 일찍 시작되어 길게 이어지면서 전력 수요 피크를 243기가와트(GW)로 제한하고 전체 수요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했다. 이러한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전문가들은 "고주파 사건(High-frequency events)"이 발생했다고 지적한다. 이는 들어오는 전력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공공정책 싱크탱크 에너지, 환경 및 물 위원회(CEEW)의 디샤 아가르왈(Disha Agarwal)은 "2025년 7월과 8월 동안 전력망에서 저주파(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보다 고주파 이벤트가 20%에서 45% 더 많았다"고 밝혔다.
인도의 중앙 그리드 운영자는 전력 공급과 수요 불일치를 안정화하기 위해 발전소에 증감 신호를 보내지만, 재생 에너지가 "반드시 운영되어야 하는" 지위를 누림에도 불구하고 결국 생산량을 줄이라는 신호를 받았다. 이로 인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운영자들은 청정 전력으로 더 나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저장 장치를 모색하게 되었다.

현재 인도에는 6GW 미만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있으며, 그중 약 1GW만이 배터리다. 반면, 태양광은 인도의 495.5GW 설치 에너지 용량 중 24.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의 비화석 연료 용량 250GW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저장 인프라 부족은 하루 중 특정 시간에 공급 과잉으로 이어져 에너지 거래소의 현물 전기 가격을 거의 0으로 떨어뜨리는 등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치고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인도 에너지 및 기후 센터의 니키트 아브얀카르(Nikit Abhyankar) 공동 교수는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국가는 에너지 저장을 크게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목표 및 전망:CEEW에 따르면, 2030년까지 인도는 500GW의 청정 전력을 지원하기 위해 61GW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고, 2032년까지는 97GW의 저장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는 2032년까지 3조 5천억 루피(약 390억 달러)의 비용으로 47GW의 배터리 저장 장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헥사 기후(Hexa Climate)의 산지브 아가르왈(Sanjeev Aggarwal) 회장은 현재 배터리 저장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재생 가능 발전소에서 저장 구성 요소가 있는 발전소로의 전환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저장 능력을 갖춘 태양광 발전에 대해 배전 회사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음을 언급하며, 이는 재생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하라슈트라, 구자라트, 라자스탄에서는 독립형 저장(Stand-alone storage)에 대한 입찰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기존 송전선과 재생 가능 발전소를 더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프라, 규제 및 시장 설계를 미래 수요에 맞추는 시스템 수준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