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서울시, '데이터 경로' 파악해 시민 '삶의 질' 높인다

글로벌이코노믹

ICT

공유
0

KT·서울시, '데이터 경로' 파악해 시민 '삶의 질' 높인다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 상무가 '수도권 생활이동 개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사진=KT이미지 확대보기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 상무가 '수도권 생활이동 개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KT가 수도권 내 모든 '데이터 이동 경로'를 파악해 이를 데이터화 한다. 서울시는 KT가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통근 및 통학, 교통 인프라 개선 등 시민 편의 향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KT가 휴대폰 기지국 신호 정보를 활용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데이터는 서울시에 제공해 교통, 주거, 도시공간 재구조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각 분야의 혁신정책 수립을 지원하는데 쓰이게 된다.
이번에 공개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KT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통계청, 수도권 내 3개 연구원과 협력한 결과다. 기존의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보다 범위를 넓혀 시도 경계를 넘어 수도권 내에서 이동하거나, 수도권이 출발지이거나 도착지인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다.

해당 데이터는 KT의 휴대전화 통신 시그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민들의 이동을 기지국 단위로 집계한 것이다. 서울 포함 수도권 전역을 읍면동(1182개)보다 더 세밀한 총 4만1000여 개 구역(250m 격자 단위)별로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이번에 개발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앞으로 △교통 인프라 개선 △버스노선 최적화 △청년주택 입지선정 △광역 도시공간 재설계 등 도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교통·주택·광역도시계획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도 통근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는 지역을 찾아 교통 인프라(환승센터·정류장·버스노선 등)를 개선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또 수도권 지역과 서울 주변 지역 사이의 공간구조를 재설계함으로써 거점별 행정수요를 집중하거나 분산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거나 균형발전을 촉진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서울·경기·인천 간 촘촘한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 버스 노선을 신설하거나, 병원·쇼핑센터·학교 등 공공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