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마추픽추 관문' 페루 친체로 공항 본공사 착공...한국 첫 인프라 G2G 사업 본궤도 진입

공유
0

'마추픽추 관문' 페루 친체로 공항 본공사 착공...한국 첫 인프라 G2G 사업 본궤도 진입

한국공항공사·현대건설 참여 페루 친체로 신공항 건설사업, 현지시간 19일 착공식 개최
한국의 첫 인프라 분야 국가간(G2G) 협력사업 수주...한국 공항·건설기술 남미 진출 시금석

페루 친체로 신공항 여객터미널 조감도. 사진=현대건설이미지 확대보기
페루 친체로 신공항 여객터미널 조감도. 사진=현대건설
한국공항공사·현대건설 등으로 구성된 '팀 코리아'가 총괄하는 페루 '친체로' 신공항 건설 사업이 본공사 착공식을 개최, 본 궤도에 올라섰다.

한국공항공사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는 20일(현지시간 19일) 페루 쿠스코 주정부 청사에서 친체로 신공항 건설사업 착공식이 개최된다.
이 착공식에는 페드로 카스티요 페루 대통령, 후안 프란시스코 교통통신부 장관, 쿠스코주 주지사, 친체로시 시장 등이 참석하며, 우리측에서는 손창완 한국공항공사 사장과 주종완 국토부 공항정책관을 비롯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중남미지역본부장, 현대건설 사장 등이 참석한다.

친체로 신공항은 세계적 관광명소이자 세계문화유산인 마추픽추의 관문공항으로, 기존의 노후되고 규모가 작은 쿠스코 공항을 대체하게 된다.

특히 한국공항공사는 이 사업의 사업총괄관리(PMO)를 맡아 사업을 총괄한다.

이 사업의 PMO 컨소시엄에는 한국공항공사를 비롯해 도화엔지니어링, 건원엔지니어링, 한미글로벌 등이 참여하며, 시공사로는 현대건설의 주도 하에 멕시코, 중국, 페루 등의 건설사들이 참여한다.

PMO 사업은 발주처를 대신해 설계검토, 시공사 선정, 감리사 선정, 기술지원, 시운전 등 사업 전반을 총괄관리하는 사업유형으로 주로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 건설인프라 시장에서 수주를 독점해 온 고부가가치 사업방식이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국가철도공단 등은 이 사업의 수주 지원에 나섰으며 지난 2019년 6월 우리 정부는 스페인, 캐나다, 터키 등과의 경쟁을 뚫고 페루 정부와 친체로 신공항 건설 PMO 사업을 수주했다.
우리나라가 인프라 분야에서 해외 정부와 정부간(G2G) 계약을 체결해 사업을 수주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우리 정부는 2019년 10월 페루 정부와 G2G 계약을 체결했고, 현대건설은 지난 3월과 7월 부지조성공사와 본공사 시공계약을 각각 수주했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도 페루 현지 교통통신부와 지속적인 화상회의, 사업일정 관리, 건설 시공사 선정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이날 착공식을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잉카문명 유적지인 마추픽추가 위치한 쿠스코에서 북서쪽으로 15km 떨어진 친체로 시에 건설되는 친체로 신공항 사업은 총 사업비 약 7600억 원 규모로, 기존 쿠스코 공항의 제한된 용량과 기능을 대체해 연간 570만 명 수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오는 2025년 완공과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번 프로젝트에 최첨단 선진 설계 기법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을 적용, 설계,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화해 관리함으로써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방침이다.

친체로 신공항은 국제공항 터미널과 활주로, 관제탑, 계류장 등 최첨단 시설을 갖추게 되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항공산업 발전과 쿠스코 지역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우리 기업들은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건설 인프라 수요가 높아질 거것으로 전망되는 중남미 시장에서 한국의 수주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국토부에 따르면 공항건설사업은 철도, 도로에 이은 세계 3대 인프라 시장으로, 향후 항공수요가 회복되면 투자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세계 철도개발사업 시장은 5조 4700억 달러 규모, 도로 시장은 2조 2500억 달러, 공항 시장은 8265억 달러 수준이다.

손창완 사장은 "세계 관광문화 유산인 마추픽추와 세계를 연결하는 하늘길이 대한민국과 한국공항공사의 기술로 만들어진다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진다"며 "안전한 공항 건설과 공항운영 기술 공유, 시운전 등의 사업관리를 성공리에 완료해 남미지역과 글로벌 해외사업 진출 저변 확대의 시금석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