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0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회'에서 개최해 국내 증시 체질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다음 달 공매도 재개와 대체거래소(ATS) 거래에 앞서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증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장 구조 개편 논의도 조속히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원장은 먼저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의 일환으로 증시 인프라의 구조 개선을 추진해왔다"며 "시장구조 개편 논의도 조속히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내달 재개되는 공매도와 관련해 "공매도 전산화는 전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글로벌 민관협력 체계로 우리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대체거래소 출범으로 투자자의 선택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거래 편의성 또한 획기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자본시장의 개혁이 늦어질수록 투자자의 신뢰는 흔들릴 것"이라며 "(자본시장 선진화) 제도들이 우리 자본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우리 시장의 매력도가 제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무차입공매도를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정비했다.
먼저 잔고관리시스템을 통해 독립거래단위의 등록과 승인, 거래 담당 직원과 운용 상품을 통합 관리한다. 기관 내에서도 내부대차거래를 반영한 실시간 매도가능잔고를 산출하도록 해, 대차거래에 따른 오류로 무차입공매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
또한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과 공매도 법인의 잔고관리 시스템을 연계해, 무차입공매도를 점검하도록 했다.
다만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는 시행 전까지 부족한 부분이 없는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고 했다. 이런 관점에서 금융 당국은 증시 인프라 혁신과 대체거래소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 역량을 집중해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금융당국은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 출범을 중심으로 증시 인프라 혁신과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우리 증시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원장은 "기업은 자본시장 혁신의 주체이자 가장 큰 수혜자이므로 자본시장과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과 책임을 다하길 당부한다"며 "금감원도 시창 참여자가 한뜻으로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 출범 등 새로운 증시 인프라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한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김학수 넥스트레이드 대표이사를 비롯해 장철근 KB증권 상무, 백종흠 키움증권 부장 등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를 포함한 개인투자자 대표도 참여했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