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 3조원…전년 대비 13.8%↓
1년새 더욱 심화된 'MMORPG' 편중 현상…신규 유저 유입 어려워
1년새 더욱 심화된 'MMORPG' 편중 현상…신규 유저 유입 어려워
이미지 확대보기앱 통계 분석 플랫폼 센서타워는 18일 2023년 상반기 국내 모바일 게임 결산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양대 앱 마켓(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모바일 게임 시장 전체 매출액은 26억6000만달러(약 3조3600억원)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5억달러(13.8%) 감소했다.
센서타워는 올 초, 한국의 모바일 게임 시장의 2022년 연간 매출이 53억달러(약 6조6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억달러(8.6%)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올 상반기에 감소율이 5.2%p 증가해 더욱 가파른 하락세를 보인 셈이다.
이미지 확대보기올 상반기 모바일 게임 누적 다운로드 수 역시 총 2억2200만건으로 전년 상반기 대비 약 4500만건(18%) 감소했다. 2022년 전체 다운로드 수는 약 5억2000만건으로 전년 대비 3000만건(5.2%) 줄었는데, 감소율이 13%p 가까이 오른 셈이다.
모바일 게임 시장의 하락세는 세계적인 흐름이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양대 앱 마켓 총 누적 매출은 787억달러(약 100조원)이었다. 2021년 883억달러(약 111조원) 대비 9.7% 줄어든 수치다. 하락세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특수의 종료로 인한 역기저효과,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세계적 경기 침체 등이 지목된다.
올 상반기 국내 시장에선 카카오게임즈와 넥슨, 위메이드 등이 이른바 'MMORPG 3파전'을 벌이는 등 대형 신작이 여럿 출시됐음에도 매출, 다운로드 수 양면에서 하락세가 더욱 심화됐다. 이는 기존 출시작, 신작 모두 MMORPG로 장르 편중화가 심화됨에 따라 시장 전반에 걸쳐 신규 이용자 유입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보기실제로 다른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의 올 6월 국내 3대 앱 마켓(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원스토어) 통합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최상위 6개 게임이 모두 대규모 PvP(이용자 간 경쟁)를 핵심 콘텐츠로 한 MMORPG다. 여기에는 신작 '나이트 크로우', '아키에이지 워' 등이 포함된다.
이에 비해 지난해 6월 매출 최상위 6개 게임에는 같은 해 3월 출시된 '던전 앤 파이터 모바일', 6월 출시된 '디아블로 이모탈'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여타 MMORPG와 달리 1인, 혹은 소규모 인원 단위로 사냥과 파밍을 중심으로 한 액션RPG라는 점에서 MMORPG와 차별점이 있다.
MMORPG 외 장르 신작 중에선 '미소녀'로 대표되는 서브컬처 수집형 RPG들이 여러차례 매출 최상위권에 올랐다. 카카오게임즈의 1월 신작 '에버소울', 지난해 11월 출시된 시프트업의 '승리의 여신: 니케'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서브컬처 게임들 중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은 국내 게임사가 아닌 중국의 호요버스다. 이들의 2020년작 '원신'은 서브컬처 게임 중 유일하게 상반기 종합 매출 톱10(9위) 안에 들었다. 또 올 4월 출시한 신작 '붕괴: 스타레일'은 약 2개월간 2700만달러(34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