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필리핀 전력시장 흔드는 K-원전…DL이앤씨·메랄코 SMR 동맹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필리핀 전력시장 흔드는 K-원전…DL이앤씨·메랄코 SMR 동맹 본격화

“메랄코, 삼성물산·LG에너지솔루션과 손잡고 2032년 원전 가동 목표”…한수원·KINGS 인재협력 가속
메랄코로 알려진 마닐라 일렉트릭 컴퍼니는 필리핀의 전력 배전회사로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배전업체다. 사진=메랄코이미지 확대보기
메랄코로 알려진 마닐라 일렉트릭 컴퍼니는 필리핀의 전력 배전회사로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배전업체다. 사진=메랄코
DL이앤씨는 20일(현지 시각) 마닐라 일렉트릭(Meralco)와 필리핀 내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 가능성을 모색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필리핀 전력망에서 벗어난 독립형 지역에 SMR을 건설하는 타당성 조사와 부지 평가, 장기 전략계획 수립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1903년 설립된 메랄코는 필리핀 39개 도시와 72개 지방자치단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필리핀 최대 민간 전력기업으로, 필리핀 전체 전력의 55%를 담당하고 있다. 마닐라 수도권에서 유일한 전력 공급업체 역할을 하고 있어 필리핀 원전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평가된다.

메랄코는 또한 기존 협력사인 한국수력원자력·삼성물산·LG에너지솔루션과 한국에서 현장 방문 및 전략적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로니 아페로초 메랄코 수석 부사장은 "한국의 전략적 참여는 원자력의 책임 있는 개발에 대한 우리의 약속을 강조한다"면서 "원자력 시설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제도적 지식과 기술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리더들과 협력해 필리핀에서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원자력 에너지 채택을 보장하는 자체 역량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인재 교류와 기술 이전, 대학원 장학생 파견 프로그램 본격화


메랄코는 에너지 교육 부문인 메랄코 파워 아카데미를 통해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와 MOU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2026년 3월부터 필리핀 장학생을 한국으로 파견하는 원자력 공학 장학생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KINGS는 지난 7월 9일 메랄코 파워 아카데미와 MOU를 체결해 핵심 에너지 인재 개발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임학규 KINGS 총장 대행은 "메랄코 파워 아카데미와의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과 필리핀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 분야에서 공동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랄코는 또한 한국전력공사와 스마트그리드 현대화, 폭풍 강화 및 에너지 전환 전략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고급 계량 인프라 출시, 그리드 자동화, 데이터 분석 및 분산 에너지 자원 통합 분야에서 잠재적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양사는 지난 2월 파트너십을 공식화했으며 상호 역량 구축 이니셔티브 추진을 재확인했다.

DL이앤씨는 이번 메랄코와의 협력을 통해 SMR 사업 범위를 미국·유럽에 이어 동남아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현재 DL이앤씨는 미국 3대 SMR 기업으로 꼽히는 엑스에너지(X-energy)와 글로벌 SMR 시장 진출 관련 협력을 진행 중이다. 엑스에너지가 개발 중인 'Xe-100' 모델은 단일 용량 80MW 4개 모듈로 구성돼 총발전 용량 320MW 규모의 고온가스로 방식 SMR이다.

DL이앤씨는 지난해 1월 엑스에너지에 2000만 달러(약 279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으며, 지난 2월에는 엑스에너지·한전KPS와 함께 글로벌 SMR 사업 개발과 시운전·유지보수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계에서는 필리핀 정부가 2032년까지 최소 1200MW 용량의 상업용 원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어 한국 기업들의 원전 수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샤론 가린 필리핀 에너지부 차관은 원전 가동을 시작하고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점차 4800MW로 늘리겠다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밝혔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은 2022년 집권 이후 고질적인 전력난 해소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원전 도입을 추진해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