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韓금융 최대 리스크,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공유
0

韓금융 최대 리스크,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국내외 전문가들이 보는 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은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인 것으로 나타났다.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국내외 전문가들이 보는 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은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인 것으로 나타났다.자료=한국은행
국내외 전문가들이 보는 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은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지난 11월 13일~11월 29일까지 국내외 금융시장 전문가 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0%가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을 꼽았다.
이는 응답자가 선정한 5개 리스크를 단순 집계해 응답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추린 결과로 미·중 무역분쟁(74%), 국내 경기 둔화 지속(52%),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위험 요인 중 1순위로 언급된 항목 기준으로도 미·중 무역분쟁(39%)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21%)이 가장 높았다. 이어 글로벌 경기 둔화(9%),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둔화(5%) 등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리스크로 봤고, 가계부채 문제,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평가했다.

국내 경기 둔화 지속, 미·중 무역분쟁은 리스크 발생 가능성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 요인으로 봤다. 반면 가계부채와 중국 금융·경제 불안, 글로벌 경기 둔화는 리스크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 요인으로 평가했다.

이는 지난 5월 상반기 조사 때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계속해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된 것이다.

이번 서베이의 상위 5개 요인에서는 제외된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관련은 지난 응답비중(44%) 보다 7%P 낮아진 37%로 여전히 높았다.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반기 조사 때와 비교하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13%로 상승 한 가운데 '낮다'고 응답비율도 53%로 소폭 상승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는 개선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55%로, 상반기 50%보다 소폭 높아진 가운데 '보통'과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44%에서 41%로, 6%에서 4%로 하락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n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