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등 4대강 유역에 수도사고 대응 전문기관 '유역수도지원센터' 신설...22일 출범

환경부는 22일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 및 한강 유역수도지원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박천규 환경부 차관, 이학수 수자원공사 사장을 비롯해 유역수도지원센터 임·직원, 유관기관, 수도분야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한다.
유역수도지원센터는 지난해 5월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로 불거진 지방 상수도시설 관리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고 수돗물 사고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마다 1개소씩 총 4개소가 설치된다.
향후 피해규모가 100가구 이상인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지자체의 수도사업본부장은 상황판단회의를 소집한 후 비상상황실을 운영하면서 필요 시 해당 유역 환경청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센터는 해당 유역 환경청의 지휘 아래 기술적·인적 지원을 한다.
피해규모가 300가구 이상 대규모로 확대되면 지자체의 장이 상황판단회의를 소집한 후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지자체는 필요 시 관할 유역 환경청에 현장수습조정관의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수도계획 수립, 시설진단, 유수율 제고, 수계 전환, 급수 취약지구 개선 등 상수도 전반에 걸쳐 전문 기술을 지자체에 지원·이전한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과 연계해 전국의 실시간 수도정보 데이터에 기반한 수돗물 사고감시와 지자체 위기대응 상담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수자원공사가 대행 운영한다. 정식 출범 후에는 센터별로 약 40명씩 총 160여 명이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센터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돗물 사고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인력과 기술력 등이 부족한 시·군을 대상으로 전문기술을 지원해 지방상수도 운영을 선진화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