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따뜻한 독서편지(331)] 중국인 거리
[글로벌이코노믹 이동구 광성고 교사] 1959년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오정희의 소설 『중국인 거리』에서 주목했던 부분은 여성에 대한 인식과 묘사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모든 여성들은 남성들에 의해 타자화 된, 남성 위주의 사회 속에서 왜곡된 여성성을 강요당하며 살아온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초경을 치르지 않은 9살 소녀의 눈에 비친 세상 속 여성들의 삶의 모습은 매우 위태롭고 불안하며 그 끝은 모두 부정적이고 또 비극적이다. 작가 오정희는 이 소설에서 남성 위주의 사회 속에서 성장통을 겪으며 여성이 되어 가던 한 소녀의 눈을 통해 이른바 1960년대 당시 ‘여성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며 그 가운데 여성으로 성장하던 한 소녀의 불안한 내면 심리를 드러내고자 했다는 생각이 든다.
난 커서 양갈보가 될 테야, 매기 언니가 목걸이도 구두도 옷도 다 준 댔어. (중략) 유리 목걸이에 햇빛이 갖가지 빛깔로 쟁강쟁강 튀었다. 그 중 한 알을 입술에 물며 치옥이가 말했다. 난 양갈보가 될 거야.
치옥이와 함께 매기 언니의 방에서 화장품과 옷을 구경하고 술을 몰래 마시는 장면 끝에 치옥이는 ‘난 커서 양갈보가 될 테야.’라고 말한다. 이 소설이 성장 후의 글쓴이가 과거를 회상하며 쓴 글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갈보가 꿈이라는 치옥의 말이 갖고 있는 내포적 의미, 물론 치옥이는 나이가 어리므로 그 말이 갖고 있는 비극과 슬픔의 무게를 다 알지 못하겠지만, 9살 소녀의 입에서 ‘양갈보가 꿈’이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왜곡된 여성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매춘에 대한 인식이 어린 소녀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좋은 옷과 화장품과 구두를 살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절실함’이 ‘매춘 행위가 갖는 부도덕성’을 쉽게 누르고 있는 것이다.
한낮이어도 벽장 속은 한 점의 빛도 들이지 않아 어두웠다. 나는 차라리 죽여 줘라고 부르짖는 어머니의 비명과 언제부터인가 울리기 시작한 종소리를 들으며 죽음과도 같은 낮잠에 빠져들어 갔다. 내가 낮잠에서 깨어났을 때 어머니는 지독한 난산이었지만 여덟 번째 아이를 밀어내었다. 어두운 벽장 속에서 나는 이해할 수 없는 절망감과 막막함으로 어머니를 불렀다. 그리고 옷 속에 손을 넣어 거미줄처럼 온몸을 끈끈하게 쥐고 있는 후덥덥한 열기를, 그 열기의 정체를 찾아내었다. 초조였다.
고통스러운 일곱 번째 출산을 끝내고 다음에 또 임신하면 죽을 지도 모른다는 염려를 하고 있는 가운데 어머니는 또 다시 여덟 번째 출산을 하고 있다. 어머니의 여덟 번째 출산의 비명을 들으며 ‘나’는 벽장 속으로 숨어버리고 거기서 잠이 든다.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초경을 치르게 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 소설은 여성으로서의 삶에 진입하게 된 소녀의 정신적 불안감과 공황의 상태를 ‘중국인 거리’라는 이국적 배경과 해인초 끓이는 냄새의 지독함을 통해서 풀어내고 있다. 9살 소녀가 바라보는 당시 한국 사회의 ‘여성의 삶’이 갖는 그 왜곡된 모습이 얼마나 지독한 비극인지를 이 소설을 읽으면 느낄 수 있다.
/글로벌이코노믹 이동구 광성고 교사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락하며 5만2000엔 ‘붕괴’...이익실현...](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