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영배 큐텐 대표가 고소당했다. 위메프로 시작돼 티몬으로 이어진 정산 지연 사태가 확산되자 피해자들이 총 책임자인 구 대표에게 책임을 물은 것이다. 앞서 이들은 ‘티메프’ 사태에 책임자로서 해명을 촉구했지만 구 대표는 깜깜무소식이었다. 29일 뒤늦게 입장문을 냈지만 피해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기에는 힘들었던 모양이다.
실제 구 대표는 “제가 가진 재산 대부분인 큐텐 지분 전체를 매각하거나 담보로 활용해 금번 사태 수습에 사용하도록 하겠다”며 “큐텐과 저는 금번 사태에 대한 경영상 책임을 통감하며, 그룹 차원에서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고 제 개인 재산도 활용해서 티몬과 위메프 양사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구 대표는 인터파크에서 사내벤처 형태로 G마켓을 창업했다. 구스닥을 자본금 10억원의 별도 법인으로 출범시킨 후 2003년 사명을 G마켓으로 바꿔 오픈마켓 체제를 도입했다. 2007년에는 전자상거래 업체 최초 연간 거래액 3조원을 달성하며 업계 1위를 거머쥐었다. 2009년 구 대표는 돌연 G마켓을 이베이에 매각했다.
이후 2010년 큐텐을 설립했다. 큐텐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일본‧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중국‧홍콩 등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온라인몰 사업을 확장했다. 그리고 다시 한국 시장에 관심을 보였다. 구 대표는 G마켓을 매각하며 이베이 측과 10년간 한국에서 이커머스로 경쟁하지 않는다는 조건에 합의했다. 겸업 금지 기간이 끝나자 그는 한국 시장 진출을 모색했다.
2022년 9월 티몬을 인수한 것이 출발점이 됐다. 당시 큐텐은 사모펀드인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와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PSA컨소시엄(티몬글로벌)이 보유한 티몬 지분 100%와 큐텐의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지분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티몬을 인수했다. 이후 2023년 3월 인터파크 쇼핑, 같은 해 4월 위메프, 올해 3월 AK몰 등을 인수했다.
국내 이커머스를 차례로 인수하며 큐텐연합군을 형성할 때까지만 해도 여론의 관심을 긍정적이었다. 큐텐도 나름의 성과를 공개했다.
당시 큐텐은 “경영권을 인수한 뒤인 2022년 4분기 티몬의 거래액이 전년 동기보다 60%가 늘어났고 올해 1분기 역시 전년 대비 70% 가까이 성장했다”며 “이같은 모델을 인터파크커머스는 물론 위메프에도 적용해 그룹사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커머스와 글로벌 커머스 큐텐 등 각 계열사들이 가진 장점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극대화해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소는 오래가지 못했다. 올해 7월 들어 티몬과 위메프에서 판매대금 정산 지연이 발생 일명 ‘티메프’ 사태가 터졌다. 이로 인해 피해를 본 소비자들이 29일 모회사 큐텐의 구영배 대표 등을 경찰에 고소했다.
법무법인 심의 심준섭 변호사는 이날 오후 2시께 강남경찰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영배 큐텐 대표와 티몬·위메프의 대표이사, 재무이사 등 총 5명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고발한다고 밝혔다.
심 변호사는 “정산대금을 줄 수 없음에도 쇼핑몰을 운영한 것은 폰지사기 행태”라며 “큐텐 자회사 큐익스프레스를 키우기 위해 불법적으로 자금을 유용하고 회사 경영이 방만한 부분은 배임이나 횡령에 해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티메프’ 사태가 더 이상 커지는 걸 막기 위해 정부까지 나섰다. 정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티몬, 위메프 판매대금 미정산 문제와 관련해 관계부처 TF 회의를 열고, 긴급 대출과 세정 지원 등 5600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했다. 우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을 통해 긴급경영안정자금 200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현재까지 업체로부터 파악된 미정산 금액은 약 2100억원으로 추산되나 추후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거래분을 감안하면 그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수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imk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