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의사결정 관여 안해"

글로벌이코노믹

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의사결정 관여 안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들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들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자신이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관련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홈플러스의 납품 대금에 보증을 왜 서지 않느냐는 의원 질의에 "내가 관여한 부분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김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회 증인으로 출석한 것은 처음이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배경을 묻는 질문에 "내 권한이 아니다. 이는 홈플러스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홈플러스에 대한 MBK 측의 지원을 더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재산이 14조원에 달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해당 액수는 우리 법인(MBK)의 가치를 매긴 것 같은데 비상장 회사라 유동화할 수 없는 가치다. 주식을 팔아 유동화해 재산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아닌 만큼 이해해 달라"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MBK가 2015년 인수했고 장기간 경영난을 겪다 올해 3월 기업회생 절차를 시작했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의 최후 수단으로 매각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인수 희망자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올해 내 매각이 무산되면 최악의 경우 기업 청산을 해야 한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