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커지는 부동산발 금융불안…못갚는 건설업 은행대출 1년새 2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커지는 부동산발 금융불안…못갚는 건설업 은행대출 1년새 2배

5대 시중은행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현황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5대 시중은행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현황 /사진=연합뉴스
고금리 환경과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이 이어지면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위기 가능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금융권과는 달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 노출액이 크지 않은 은행권조차 일반 건설업 연체가 빠르게 불어나면서 긴장 속에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은행도 부동산 시장 하방 위험을 고려할 때 최근 대출 증가를 주도한 건설·부동산 업종의 연체율이 더 오를 가능성이 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현재 모두 23조2387억원으로 조사됐다.
작년 말(20조3915억원), 2021년 말(15조9704억원)과 비교해 각 1년과 2년 사이 14%(2조8472억원), 46%(7조2683억원) 증가했다. 현재 1051억원 규모인 연체액의 증가 속도는 더 빠르다. 작년 말(524억원)의 2배일 뿐 아니라 2021년 말(330억원)의 3.2 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올랐다. 부동산 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18조2404억원 정도다. 올해 들어 26%(3조7917억원) 더 늘었지만, 연체율은 아직 0%에 가깝다.

은행권 내부에서도 최근 건설업종의 빠른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동산 PF 부문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주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부 대출 위주로 부동산 PF 잔액이 증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부분 선순위 보증을 바탕으로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에 PF 관련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지만 부동산 경기가 다시 냉각되는 만큼 선제적 위험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도 중점·점검 관리 대상 사업장을 정해 매달 위험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PF 심사 가이드라인(침)을 강화했고, PF에 대한 대출 재점검(리뷰)과 기획 감리도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한은 역시 대출의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 집중 문제와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한은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재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등 5개 업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부동산업에 대출이 지나치게 많이 쏠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했다.

한은 조사 결과 전체 금융기관의 건설업·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현재 1.75% 수준으로 작년 2분기(0.72%)와 비교해 불과 1년 새 2.4 배로 오른 셈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