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3일 '거주자 외화예금의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009년 말 외국환은행의 외화조달원 중 외화옉금 비중은 17.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40.5%까지 확대됐다. 반면 외화 차입금 비중은 같은 기간 43.2%에서 19.6%로 축소됐다.
아울러 은행의 외화 자산과 부채 구조도 개선시켰다는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거주자외화예금은 요구불·단기예금 비중이 높아 장기시계에서 운용하기 어렵고, 외화의 경우 중앙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이 제약돼 주로 단기·고유동성 대외자산으로 운용된다.
은행 입장에서 낮은 조달 금리도 장점이다. 거주자외화예금은 금리가 0%에 가까운 요구불예금 비중이 3분의 2를 차지하고, 가산금리가 거의 없어 평균조달금리가 낮다. 차입금과의 평균조달금리 차이는 달러화 금리가 높을수록 확대되는데 2010년 이후 약 0.1~4.1%포인트(p) 수준으로 추정됐다.
이런 장점에도 외화예금 규모가 아직 크지 않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말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은 5.4%로 OECD 21개국 평균인 20.1%와 2012년 '외화예금 확충방안'에서 제시된 목표치 10%보다 낮다.
이종찬 한은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은 "여러 장점과 여전히 낮은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을 고려할 때 거주자외화예금 확대 정책이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면서 "다만 거주자외화예금 확대가 국내 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 수출입기업의 예비적수요 조정이 현물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는 부작용이 있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