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거주자 외화예금이 대외충격 방파제…한은 "확대 정책 지속돼야"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거주자 외화예금이 대외충격 방파제…한은 "확대 정책 지속돼야"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국내은행과 외국은행의 국내지점(외은지점) 등 외국환은행의 외화 조달 수단으로 외화예금 비중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13일 '거주자 외화예금의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 기업, 국내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 진출 외국 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 등을 뜻한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과거 대외충격의 국내 전이요인으로 지적됐던 단기 차입금의 대안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외화조달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2009년 말 외국환은행의 외화조달원 중 외화옉금 비중은 17.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40.5%까지 확대됐다. 반면 외화 차입금 비중은 같은 기간 43.2%에서 19.6%로 축소됐다.
한은은 글로벌 리스크 확산 당시 거주자 외화예금이 은행으로 유입돼 외화예금 시장과 국내 은행의 외화 유동성 개선에 기여해왔다고 평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때 파생거래 증거금 관리 등을 위한 비은행금융기관의 외화자금 수요 급증으로 외화자금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지만 거주자외화예금의 유입이 지속되면서 시장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아울러 은행의 외화 자산과 부채 구조도 개선시켰다는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거주자외화예금은 요구불·단기예금 비중이 높아 장기시계에서 운용하기 어렵고, 외화의 경우 중앙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이 제약돼 주로 단기·고유동성 대외자산으로 운용된다.

은행 입장에서 낮은 조달 금리도 장점이다. 거주자외화예금은 금리가 0%에 가까운 요구불예금 비중이 3분의 2를 차지하고, 가산금리가 거의 없어 평균조달금리가 낮다. 차입금과의 평균조달금리 차이는 달러화 금리가 높을수록 확대되는데 2010년 이후 약 0.1~4.1%포인트(p) 수준으로 추정됐다.

이런 장점에도 외화예금 규모가 아직 크지 않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말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은 5.4%로 OECD 21개국 평균인 20.1%와 2012년 '외화예금 확충방안'에서 제시된 목표치 10%보다 낮다.

이종찬 한은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은 "여러 장점과 여전히 낮은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중을 고려할 때 거주자외화예금 확대 정책이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면서 "다만 거주자외화예금 확대가 국내 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 수출입기업의 예비적수요 조정이 현물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는 부작용이 있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