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교육청, 유네스코 ‘디지털 러닝 위크’서 글로벌 파트너 제안 받아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교육청, 유네스코 ‘디지털 러닝 위크’서 글로벌 파트너 제안 받아

3일(현지시각)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스테파니아 지아니니 유네스코 교육사무총장보와 미팅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이미지 확대보기
3일(현지시각)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스테파니아 지아니니 유네스코 교육사무총장보와 미팅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3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UNESCO) 본부에서 열린 ‘2025 디지털 러닝 위크(2025 Digital Learning Week)’에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각국 교육부 장관, 정책 실무자, 유엔 기구 대표, 민간기업 관계자 등 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교육의 비전과 실천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다.

특히 올해 행사는 ‘실천’에 방점을 두었다. 병행 세션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 △국제 AI 교육 전략 구축 △AI 시대 교육의 증거 기반 실천 등 현장 적용을 강조하는 주제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수원에서 열린 ‘2024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국제포럼’이 경기도 내 학교 방문, 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 전시 체험 등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것이 이번 포럼의 방향 설정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당시 스테파니아 지아니니 유네스코 교육사무총장보는 “경기도교육청이 유네스코 비전을 실제 정책과 교육현장 변화로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한 바 있다.

소비 타윌 유네스코 미래학습혁신국장은 “2019~2022년이 유네스코가 미래교육 비전을 구상한 시기였다면, 경기도교육청 주최 포럼은 그 비전을 현장의 신뢰와 실천으로 이어지게 한 계기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경기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이 유네스코의 핵심 파트너(Key Partner)가 되어줄 것을 공식 제안했다.

유네스코는 지난해 포럼 직후 경기도교육청에 글로벌 미래교육 협의체인 ‘글로벌 옵져버토리(Global Observatory)’를 제안했고, 약 9개월 만에 후속 논의가 구체화됐다. 이 협의체는 국제포럼에서 모아진 담론을 전 세계 교육현장의 실질적 변화로 이끄는 ‘스티어링(Steering)’ 역할을 맡게 된다.

임 교육감은 “국제포럼이 선언이나 보고서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협의체 구성으로 이어진 것은 실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며 “우리의 노력이 학생들의 더 나은 미래로 연결되도록 유네스코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