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사업비 모두 미정… 타당성 용역 단계”

29일 시에 따르면 논란의 발단은 지난 9월 조선일보 부동산 채널 ‘땅집고’의 보도다. 해당 매체는 금릉동 81번지를 건립 예정지로 특정하면서 교통 불편과 세금 낭비 우려를 전했다. 이어 유튜브 채널에서는 총사업비 725억 원을 거론하며 “지하철도 없는 외딴 동네에 돔구장을 짓는다”는 식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파주시는 돔구장 사업은 현재 후보지를 검토 중이며, 구체적인 입지와 사업비는 타당성 용역이 끝나야 산출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특정 필지를 예정지로 못박거나 추정치에 불과한 금액을 단정하는 것은 사실 왜곡이라는 것이다.
교통 접근성 논란도 쟁점이 됐다. 언론은 “교통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사업성 부족을 지적했지만, 파주는 이미 경의·중앙선 금릉역과 운정역이 운영 중이며 GTX-A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도 개통됐다. 대규모 집객시설의 교통성은 단순히 철도망 존재 여부로만 평가하기 어렵다. 행사 시 혼잡 분산, 셔틀 운영, 환승 체계 등 다층적 계획이 필요하다. 아직 입지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근성을 단정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시설의 성격을 오해한 비교도 있다. 일부에서는 파주스타디움과 돔구장을 동일선상에 놓고 논란을 키우지만, 두 시설은 성격이 전혀 다르다. 파주스타디움은 생활체육 중심의 시설인 반면, 돔구장은 프로야구 경기와 K-POP 공연 등 대형 콘텐츠를 상시 수용하는 다목적 복합공간으로 설계된다. 운영 방식도 민간 협력 기반의 수익모델을 전제로 하고 있어 직접 비교는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파주시는 지난 7월 착수한 타당성 용역을 통해 후보지 발굴, 교통 수용력, 규모·기능 구성, 재원 조달 방안 등을 종합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금 낭비를 막기 위해 경제성과 사업성을 심층 분석 중이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과 전문가의 검증 과정을 거쳐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란은 확인되지 않은 사안을 기정사실화한 보도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교통 불편, 사업성 부족, 세금 낭비 우려는 충분히 제기할 수 있는 문제지만, 이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가 이제 막 시작됐다는 사실이 간과됐다. 돔구장 조성이 경기북부 발전의 기폭제가 될지, 불필요한 재정 부담으로 남을지는 앞으로의 정책 설계와 절차적 투명성이 판가름할 전망이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