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아

특히 주목되는 것은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주에 이 청구 건수가 6만1000건 급증한 187만 건으로 지난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곧 구직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데 그만큼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 3월부터 9번에 걸쳐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올림에 따라 마침내 미국 노동 시장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노동 시장이 둔화하면 기업은 임금인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높은 인플레이션 사태 속에서 임금이 오르지 않으면 미국인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나빠지고, 이는 곧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미국 경제에서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줄면 경기가 둔화한다. 연준은 금리를 올리면서 이런 시나리오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크리스토퍼 럽키 FWD 본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에 “지난 몇 개월 동안 지켜본 끝에 드디어 우리는 경기 침체가 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됐다”면서 “미국 경제가 하강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기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의 골이 깊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월가의 대체적 분석이라고 로이터가 전했다. 노동 시장에 균열이 생겼지만, 여전히 산업 전 분야에 걸친 대규모 실업 사태가 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아직 20만 건대 중반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역사적으로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이라고 미 언론들이 평가했다.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5% 올라 2021년 이후 최소폭으로 상승했으나 연준이 오는 5월 2, 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으로 월가가 전망했다. 3월에 변동 폭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이 5.6%에 달해 연준이 기대하는 만큼 아직 물가가 잡히지 않아 금리를 동결하기는 이르다는 게 연준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3월 비농업 일자리가 23만6000개 증가했다. 지난 2월에는 일자리가 31만1000개 증가했었다. 미국의 실업률은 2월 당시의 3.6%에서 약간 더 낮아진 3.5%로 집계됐다.
연준은 지난달 22일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높은 4.75~5.00%로 올렸다. 연준은 지난해 3월 이후 9번 연속 금리를 올렸고, 미국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치에 이르렀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치인 점도표(dot plot)상의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는 5.1%(5~5.25%)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2월 예상치와 같은 수준이다. 연준이 다음 달 3일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 점도표를 통해 제시한 금리 인상 예상치는 5~5.25%에 이르게 된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