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銀 우에다 총재 “물가 전망 오류 있어…현 완화책 유지할 것”

글로벌이코노믹

日銀 우에다 총재 “물가 전망 오류 있어…현 완화책 유지할 것”

일본중앙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Kazuo Ueda).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중앙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Kazuo Ueda). 사진=로이터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상향조정을 거듭하고 있는 일본은행의 소비자물가 전망에 오류가 있었다고 인정하는 견해를 밝히며 현재의 정책 기조를 계속해서 이어 나가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8일 열린 의원 재무금융위원회에서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현재 고물가는 수입 물가로 인한 '제1의 힘'과 임금과 물가 선순환의 '제2의 힘' 두 가지로 이뤄지고 있는데, 전자로 인한 물가상승률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상향 조정이 계속되어 분명 일본은행의 전망치 오류가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한 금융정책 운영은 큰 잘못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수입 물가에 오른 물가 상승은 조만간 기세가 꺾일 것이라며 제2의 힘을 키워나가기 위해 금융완화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중반까지는 축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연간 내내 2%가량 목표를 웃도는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7월과 10월 연달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향 조정하며 시장의 비판을 받게 된 가운데, 우에다 총재는 이에 대한 비판을 일부 용인하면서도 임금 상승을 수반하는 지속적·안정적 2% 상승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현행 금융정책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금리 상한선 1% 초과를 용인하는 일드 커브 컨트롤(YCC)의 유연화 조치를 결정했다. 이로 인해 경제·물가 전망 리포트에서는 2023년도부터 25년도까지 소비자 물가 전망을 모두 상향시킨 바 있다.

특히 금융시장이 예상하는 미래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는 브레이크 이븐 인플레이션율(BEI)은 2014년 이래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행은 물가 목표 2%를 밑도는 수준이지만 완화적 통화정책에 의한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이 통화가치의 감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우에다 총재는 금융정책 정상화를 판단할 때 실질임금이 반드시 상승할 필요성은 없다고도 설명했다.

한편, 후생노동성의 월당 근로 통계조사에 따르면,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외한 실질임금은 9월에 전년 대비 2.4% 감소해 18개월 연속 전년 대비 하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임금은 21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임금 증가가 고물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